교회이야기/미디어 & 미디어사역

[스크랩] 방송선교의 필요성

행복충전소 2009. 1. 27. 08:57

방송선교의 필요성

선교는 예수께서 이 땅에서 제자들에게 남기신 마지막 유언이자, 교회의 시작과 존재 이유를 설명하고 있는 단어이기도 하다. 혹자는 전도는 무엇이고, 선교는 무엇인가?’라고 질문한다면 전도는 동일문화권에 있는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이고 선교란 타 문화권에 있는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이라고 간단히 설명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분은 전도나 선교의 정의라기보다는 쉽게 이해하려는 뜻에서 구분하고 있다.

방송(Broadcasting)이라는 도구를 통해 복음을 전파하는 일은 전도와 선교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복음을 전혀 모르는, 세상문화 가운데 있는 불신자들에게는 복음을 들을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해주고 믿음을 가지고 신앙생활, 천국문화 가운데 있는 신앙인들에게는 신앙을 더욱 북돋아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방송을 통한 전도(선교)의 장점은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동일한 메시지를 동일시간에 전할 수 있으며 한 장소에 모여, 모인 사람들에게만 전하는 것이 아니라 라디오나, TV등의 미디어를 통해 수신이 가능한 모든 이들이 비록 있는 곳은 다르더라도 동일한 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미디어의 발전으로 더욱 그 효과가 극대화되고 있다고 할 수 있고 위성방송의 확대, 인터넷 통신망의 급증은 이러한 Broadcasting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촉매제가 되고 있다.

이제 방송은 정보화 사회 속의 사람들에게는 필수적인 것이 되었다. 집에서나, 차에서나, 음식점이나, 심지어 핸드폰을 통해서도 방송을 끊임없이 접할 수 있으며 모든 사람들의 생활문화 속에 깊이 자리잡고 있다.

 

방송의 방법들

방송선교의 주체는 일반적으로 교회에서 시작된다. 물론 특정 기관들이나 선교단체에서도 방송선교를 주관하기도 하지만 공중파 방송의 유익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지역교회(Local Church)들이 주로 감당하고 있다. 공중파 방송의 특징은 지역사회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매주 또는 매번 일정한 시간에 지역사회를 커버하는 공중파 방송을 통해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내보낸다면 그 시간대의 고정 시청자(청취자)들이 형성되며 그로 인해 그들의 마음의 문을 계속 두드릴 수게 된다. 방송선교를 하는 교회의 이름을 알게 되고, 설교자의 이름과 그 음성을 알게 되고, 또한 특별행사(부활절, 성탄절)와 같은 프로그램을 교회에 초대할 수 있는 광고도 일반광고 보다는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공중파 방송의 한계는 그 방송을 시청(청취)할 수 있는 지역이 제한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지역의 한계는 땅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는 말씀에 도전을 받을 수밖에 없다.
출처 : 우리가 꿈꾸는 바로 그 교회를 찾아서
글쓴이 : Living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