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각법과 회전구체법(RSM: Rolling Sphere Method)의 적용에 대하여 |
참고: NFPA 780-1997 표준에서는 일반구조물에 대해서는 뇌격거리를 45.75 m(150 ft), 가연성 증기나 액체를 담고 있는 탱크와 안테나 및 선박(watercraft)에 대해서는 30 m(100 ft)의 뇌격거리를 추천 함. 1. 상기 그림-1의 보호각법과, 그림-4의 회전구체법을 적용하여 피뢰침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그림-2, 그림-4와 같이 고층빌딩 속에서 피뢰침을 설계하는 방법이 과연 적합한가? 아래의 사진을 보고 사진속의 피뢰침이 낙뢰를 유도할 환경에 있다고 생각하고, 과연 우리가 피뢰침을 설치하는 목적(전자장비 보호)에 적합한 피뢰대책이라고 생각을 할 수 있겠는가?
|
![]() |
출처 : 잡 동 사 니 블 로 그
글쓴이 : 이동희 원글보기
메모 :
'건축 & 조명 & 음향 > 건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접지의 목적 및 기능 (0) | 2015.05.12 |
---|---|
[스크랩] Surge Protector의 기본원리와 종류 (0) | 2015.05.12 |
[스크랩] 노이즈( NOISE ) (0) | 2015.05.12 |
[스크랩] 공통 접지 및 등전위의 기술적 자료 및 의견 (0) | 2015.05.12 |
[스크랩] 낙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피뢰침에 대한 올바른 이해 (0) | 201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