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 조명 & 음향/조명이야기

[스크랩] 조명 용어

행복충전소 2007. 7. 23. 14:23
조명용어사전

본 자료는 무단복제 및 전재(轉載)를 금합니다.

가로조명 street lighting

이 정의는 시대의 변천과 함께 변했다고 할 수 있다. 오래전에는 일반 도로의 조명도 가로 조명이라고 불렀다. 하지만 최근에는 도로 조명과 구별하기 위해 주로 보행자를 대상으로 하는 도로의 조명을 가로 조명이라고 부른다.

종전에 가로 조명의 목적은 주로 교통안전과 범죄방지로 두가지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여기에 추가로 밤의 경관과 쾌적한 환경조성이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가로조명은 상점가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상점가 조명의 목적은 고객을 유인하는 것이 우선이며 그 다음으로 보행자와 차량안전의 도모를 생각할 수 있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점포 조명(안·밖)과 도로조명 밝기의 밸런스이다.

가스든 전구 gasfilled lamp

필라멘트가 유리구에 봉입된 불활성 가스안에서 발광하는 백열전구를 말한다. 일반 조명용 백열전구에는 불활성 가스로 아르곤을 주체로 한 질소와의 혼합가스를 이용한다. 아른곤보다 무거운 크립톤이나 크세논 가스는 열 전도도가 낮고 텅스텐 필라멘트의 증발을 억제하므로 효율을 향상 또는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크립톤 가스를 봉입한 크립톤 전구는 보급되어 있으며, 크세논 가스주입은 특수한 소형전구에 일부 사용되고 있다.

가스든 전구는 1913년 랭뮤어(I. Langmuir)에 의해 발명됐다. 랭뮤어는 진공 전구의 흑화원인이 되는 필라멘트로 사용되는 텅스텐 증발인 것을 규명하고, 이것을 억제하기 위해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를 봉입하였다. 또한 가스에 의한 필라멘트의 열 손실을 줄이기 위해 필라멘트를 코일 모양으로 만든 단 코일을 사용해서 실현했다.

가시거리 luminous range

대기 투과율에 의해 한정되고, 관측자의 눈표면에 생기는 조도의 역치로 규정되는, 어떤 경우에도 소정의 신호등화를 눈으로 확인할수 있는 최대거리이다. 해상에서는 광달거리라고 한다.

가시도 visibillty

대상이 잘 보이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지수로, 휘도대비 또는 함수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시인성과는 약간 의미가 다르다. 대상의 휘도대비나 크기 차이에 따라 잘 보이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용하나, 신호등이 눈에 띄는 정도나, 쉽게 보이게끔 나타내기 위해 이용하는 경우는 없다.

가시 방사 visible radiation

눈에 들어오는 밝기 감각을 가시 방사라고 하며 모든 빛에 해당된다.

가시방사의 파장한계는 일반적으로 단파장측이 360∼400[nm], 장파장측이 760∼830[nm]의 사이에서 취하게 되어 있으나 실용적으로는 380∼780[nm]의 사이를 가시 방사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 파장범위중 짧은 파장에 대해서는 파랑, 긴 파장에 대해서는 빨강 등으로 나타나 사람의 눈은 색감의 변화를 예민하게 느낄수 있다. 밝기의 감각은 파장에 따라 다르다. 파장 555[nm]의 황록색 부분은 밝게 느끼고, 380[nm]나 780[nm] 부근의 파랑과 빨강 부분은 어둡게 느낀다.

간상체 rod

원통형의 수광용기로서, 간상체는 망막의 주변부에 많이 존재한다. 감도가 높고 주로 암소시라고 불리는 어두운 상태일 때 작용한다. 종류는 한 가지 밖에 없으므로 색을 구분하는데는 역할을 하지 않지만 시야 주변부분에서 움직이는 것을 보는데 역할을 한다.

간섭 interference

2개 이상의 단색 방사가 동시에 1점에 도달했을때, 그 점에서 파동이 서로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현상을 간섭이라고 한다.

2개의 광파의 공간적인 위상차에 의한 강도변화의 패턴을 간섭 줄무늬, 이런 빛을 코히런트광(가간섭광)이라고 한다. 또한 비누방울이나 CD(콤팩트 디스크)의 표면이 아름다운 색을 나타내는 것도 간섭현상으로 간섭색이라고 한다.

간접조도 indirect illuminance

광원이나 조명기구의 빛이 벽면, 천정면 등에 닿은 간접광(반사광)에 의해 얻어지는 조도이다. 조명기구의 앞면 커버 등을 투과하는 빛과는 구별해야 한다.

간접조명 indirect lighting

KS에서는 「크기가 무한이라고 가정한 작업면에 발산광속의 10~0[%]이하가 직접 도달하는 배광을 가진 기구에 의한 조명」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즉, 기구중심으로 통과하는 수평면을 경계로 하여 위쪽으로 나가는 광속이 90∼100[%]이고 아래쪽으로 나가는 광속이 10∼[%]인 조명기구를 사용한 조명이다.

이 방법은 대부분의 빛을 천정면에 반사시키므로 눈부심이 적은 조명이 된다. 하지만 효율이 좋지 않아 다른 방법을 겸용하는 경우가 많다.

감광 reduced lumen output

불연속으로 램프의 빛을 줄이는 것.

건축화 조명 strutual lighting; architectural lighting

램프를 천정, 벽, 기둥안에 삽입해서 건축기구와 일체화시킨 조명방식.

게터 getter

유리구안에 넣어 진공도 또는 봉입가스이 순도를 높이고, 그에 따라 흑화를 감소시키기 위한 화학물질

경면 반사 specular reflection ☞정반사

계면 반사 interfacial reflection; reflection from interface ☞반사

고니오포토미터 goniophotometer ☞배광 측정기

고압나트륨 램프 high pressure sodium[vapour] lamp(英) ;high pressure sodium[vapor] lamp(美)

점등중에 나트륨의 증기압이 약 1.3×104[Pa] (약 100[Torr])인 아크방전으로 발광하는 고휘도 방전램프이다. 발광관 안에는 나트륨 금속과 완충가스 역할을 하는 수은이 나트륨 아말감 상태로 봉입되고 시동 보조용으로 크세논 가스(또는 아르곤과 네온가스)가 2.6∼4.[kPa] 봉입되어 있다. 고전압 펄스를 발생하는 시동장치를 외관안에 내장한 것은 일반 수은등 안정기로 점등할 수 있다. 시동장치를 내장하지 않은 것은 고전압 펄스를 발생하는 시동장치를 가진 전용 안정기를 이용해 점등한다. 광색은 따뜻한 황백색(색 온도 2,000∼2,100[K])으로 연색성(평균 연색 평가수 15∼30)은 나쁘지만, 효율(360[W]로 140[lm/W]정도)은 백색 광원중 최고이다. 수명이 길고 광속유지율도 우수하다. 도로조명과 같은 옥외 일반조명, 높은 천정의 공장조명, 스포츠 조명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나트륨의 증기압을 좀더 높게 하면 연색성이 좋아지며 연색 개선형, 고연색형이 있다. 고연색형 램프는 백열전구와 비슷한 광색(색온도 2,000∼2,100[K])으로 평균 연색 평가수가 80-88로 우수해, 점포조명과 같은 옥내조명에 사용된다. 1961년 미국에서 고온?! 藉隙? 나트륨 증기에 견디는 투광성 알루미나 세라믹관이 발명되었다. 이것을 이용해 1963년 슈미트(미국, K.Schmidt)에 의해 고압 나트륨 램프가 개발됐다.

고압수은 램프 high pressure mercury [vapour] lamp(英) ;high pressure mercury [vapor] lamp(美)

점등중 수기압(105[Pa]) 이상의 수은증기중의 아크 방전에서 방사되는 빛을 이용하는 고휘도 방전 램프로, 수은 램프라고도 한다. 안정기, 조명기구를 포함하는 경우는 (고압) 수은등이라고 칭해 구별한다. 조명용으로는 투명(고압) 수은램프, 형광(고압) 수은램프, 안정기 내장형(고압)수은램프로 구분된다. 투명수은램프에 대해 설명하면, 발광관은 투명 석영 유리관의 양끝에 몰리브덴 박을 통해 한쌍의 전극을 봉착(한쪽 끝에 시동을 쉽게 하기 위해 보조전극을 추가)한다. 전극은 텅스텐의 봉과 코일로 구성되며, 코일안에 알칼리 토류 산화물(이토리아나 토리아 주입도 있다)의 전자방출 물질을 충진하고 있다. 발광관 안에는 수은과 아르곤 가스(약 1[kPa])가 봉입되어 있으며 외관 안에는 질소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수은의 발광은 청백색으로 광장, 정원의 조명에 사용하고 있다. 투광용으로 외관의 일부를 포물면 또는 타원면으로 만들어 알루미늄 증착과 같은 반사막을 한 반사형이 있다. 외관 내면에 형광체를 도포한 형광(고압) 수은램프는, 발광관에서 방사하는 자외선(주파장 365[nm])을 형광체에 의해 적색광(주파장 620[nm])으로 ?! ?환해서 광색·연색성을 개선하고 있다. 안정기 내장형 (고압) 수은램프는 안정기 대신 텅스텐 필라멘트를 외관 벌브안에서 발광관과 접속하고 필라멘트의 백열광도 이용하여도, 효율은 낮지만 광색·연색성이 개선된 램프이다. 안정기가 필요없다. 기타 조명용으로 외관이 볼형인 것, 외관의 유리 특성을 이용한 황색 램프나 연색효과가 있는 네오지움 램프가 있다. 점등방식을 연구한 저온에서 점등할 수 있는 한냉지용이나 순간 점등용 램프가 있다. 고압 수은램프는 효율이 낮지만 고출력으로 수명이 길고 광속 유지율이 좋다. 또한 품종이 다양한 특징이 있어 옥외조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수한 수은램프로 10∼수 100 기압의 수은증기압중의 아크 방전에서의 빛을 이용하는 초고압 수은램프가 있다. 광화학 반응용에는 근자외역의 방사를 이용하는 것이 많다. 수은에서 방사하는 365[nm], 313[nm]의 자외선을 잘 투과하는 석영이나 고실리카 유리의 외관을 이용한 수은램프를 광화학 반응용으로 사용하고있다. 이 밖에 지아조감광지의 감광역 300∼500[nm]의 발광을 가진 검사나 특수한 디스플레이에 이용하는 365[nm]의 자외선만 방사하는 블?! ‰瓚鉗?, 홍반효과를 초래하는 의료용 태양등, 도료, 잉크를 중합, 건조시? 객? 자외선 경화용이 있다. 수은램프는 1901년 쿠퍼·휴이트(미국, P. Cooper Hewitt)의 석영 유리 이용, 1931년 피라니(독일, Pirani)의 열음극 고압 수은램프의 개발역사가 있으며, 광색이 나빠 조명용에 사용하지 않았다. 1954년 미국에서 적색 발광의 형광체를 사용한 형광 고압 수은램프의 개발로 조명용에 사용하게 됐다.

고연색형 형광 램프 high colour rendering type fluorescent lamp(英) ;high color rendering type fluorescent lamp(美)

주로 광대역 발광 스펙트럼을 가진 형광체를 조합해 할로린산 칼슘 형광체를 이용한 형광램프보다 연색성을 개선한 형광램프를 말한다. 연색성의 정도는 KS A 3325에 의해 평균 연색 평가수 Ra 및 특수 연색 평가수 Ri(특히 R9[빨강], R15[한국인의 피부색])의 최저값이 광원색별로 규정되어 있다. 연색성의 레벨에 따라 A급(DL), AA급(SDL), AAA급(EDL)으로 구별되어 있다. 색 평가용(Ra 95)은 AAA급이다.

고유 조명률 utilance [of an installation;for a reference surface]

조명률이 광원의 전광속에 대한 이용 광속의 비인 것에 대해, 조명기구에서 발산광속이 대상 피조면에 얼마만큼 도달하는가의 비율을 말한다. 광원의 전광속과 조명기구에서의 발산광속의 비를 조명기구의 효율(기구효율)이라고 하며, 다음 관계가 있다.

(고유 조명률)×(기구 효율)=(조명률)

고출력 형광램프 high output fluorescent lamp

관의 단위 길이당 전력을 50[W/m]정도 (정격전류 0.8∼1.0[A])로 크게 하고, 전광속을 크게 만든 형광램프이다. 표준램프보다 램프효율은 약간 저하된다. 구조는 전극부분을 표준램프보다 관 안으로 돌출하고, 관 끝부분의 형상을 고안해서 최냉부의 온도(이 온도에서 수은 증기압이 정해진다)를 제어하고 있다. 80[W]형, 110[W]형 램프가 있다.

고휘도 방전램프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발광관의 관벽 온도에 의해 아크 방전이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열 음극 방전램프로 발광관의 관벽 부하는 3[W/㎠]이상으로 돼 있다. 일반적으로 고압 수은램프, 메탈헬라이드 램프, 고압 나트륨 램프의 총칭이다. 다른 방전 램프와 비교해 발광부의 단위 면적당 광속이 크고 휘도가 높다. 영문의 대문자를 따서 HID램프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광기전 효과 photovoltaic effect

금속과 반도체의 접촉부 또는 반도체의 접합부에 광조사하면, 광흡수에 의해 경계면에 자유캐리어 쌍이 발생하여 양음의 전하가 각각 경계면에 생긴 전계에 의해 이동하고, 부하측이 개로이면 전위차 즉 기전력을 발생하는 현상.

광도 luminous intensity

광원에서 빛이 사방으로 나와도 방향에 따라 빛의 강도가 다른 경우가 많다. 이것은 각 방향으로의 광속량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런 각 방향으로의 빛의 강도를 나타내는데 광도를 이용하며, 어느 방향으로의 단위 입체각당 광속으로 주어진다. 광도의 기호에는

I _ upsilon , I

를 이용하며 단위는 칸델라[cd]이다.

광도계수[재귀 반사기의] coefficient of(retroreflector) luminous intensity[of a retroreflector] ☞재귀반사

광도전 효과 photoconductive effect

광조사에 의해 자유전자 및 자유정공의 모든 하전 캐리어가 증가해, 전기 전도도가 증가하는 현상.

광량 quantity of light

광속의 시간적 적분이 광량이다. 기호에는

Q_ upsilon

,

Q

를 이용하며 단위는 루멘 초[lm·s]이다.

광 루미네센스 photoluminescense ☞ 포토루미네센스

광막 글레어 veiling glare

광막반사에 의한 빛이 시각대상과 겹쳐, 시각대상을 눈부신 빛의 막이 덮은 것처럼 되어 생기는 글레어. 시각대상의 휘도대비가 저하해, 보기 어렵거나 안보이게 된다. 반사 글레어의 일종.

광막반사 veiling reflection

정반사 또는 지향성이 강한 확산반사에 의한 빛이, 보는 대상과 겹쳐,마치 대상에 빛의 막이 겹친 것처럼 보이는 현상. 대상의 휘도대비가 저하해 보기 어려워진다.

광막휘도veiling luminance

광막반사에 의한 반사면의 휘도. 이 휘도가 시각대상 및 배경의 휘도에 겹쳐 양쪽으 휘도를 균등하게 상승시키기 때문에. 시각대상과 배경의 휘도대비가 저하해 시각대상이 잘 안보인다. 또한 광막휘도가 높으면, 눈이 부셔 광막 글레어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광방사 optical rediation

자외방사·가시방사·적외방사 총칭. 파장역으로는 대부분 1[nm]∼1[mm]까지를 대상으로 한다. 광학적 방사라고도 한다.

광복사 photocopying

광전효과나 광화학 효과를 이용한 복사법. 포토카피라고도 한다. 전자사진, 지아조 사진, 확산 전사법 등 평면화상을 복사하는 각종 사진방식의 총칭.

광속 iuminous flux

광원에서는 다양한 파장의 에너지가 방사된다. 이 중 380∼780[nm]의 파장범위만 빛으로 인간의 눈에 느껴진다. 방사속을 눈의 감도필터(시감도)에 걸쳐서 본 양을 광속이라고 한다. 기호로는 Φν, Φ를 이용하며 단위는 루멘[lm]이다.

광속 발산도 luminous exitance

어느 면의 밝기는 조도로 나타내지만, 사람의 눈에 느껴지는 밝기의 정도는 광속 발산도를 이용하며 단위면적에서 발산하는 광속으로 주어진다. 기호에는 Mν, M을 이용하며 단위는 루멘/제곱미터[lm/㎡]이다.

광속법 lumen method; flux method

대상 피조면의 평균조도나 조명기구의 소요수량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광속 유지율 luminous flux maintenance factor

램프를 일정시간 점등한 이후 맨처음 광속 특성과의 전광속비 단위: 루멘·와트[lm·W1]

광원 light source

전기, 화학등의 에너지를 광에너지로 변환해 빛을 발생하는 것을 총칭해서 말한다. 태양. 불도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인공적으로 빛을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주요조명용 광원은 백열전구. 할로겐 전구, 형광램프, 형광 수은램프, 메탈핼라이드 램프, 고압 나트륨 램프이다. 특수한 용도로 자동차용(실드빔, 소형전구), 영사용(할로겐 전구, 크세논 램프), 사진촬영용(크세논 플래시 램프, 섬광전구, 할로겐 전구), 표시용(소형전구, 발광 다이오드, 네온글로우 램프), 복사·인쇄·제판용(할로겐 전구, 형광램프, 수은램프, 크세논 램프, 발광 다이오드), 광화학 반응용(수은램프, 메탈핼라이드 램프, 형광램프), 난방·건조용(적외 전구, 원적외 방사원), 의료용(적외선 전구, 특수한 형광램프), 식물 육성용(형광램프, 백열전구, 고압 나트륨, 메탈핼라이드 램프)등이 사용되고 있다. 조명용 광원의 역사는, 불빛의 이용이 가장 오래됐고 모닥불, 횃불, 기름등, 촛불, 석유 램프, 가스등으로 발전했다. 한편 전기에 의한 빛의 이용은 아크등(일본에서는 1878년 3월 25일 처음 점등되었고, 한국에서는 1887년 경복궁에서 처음 점등되었다), 탄소전구(1879년 ! 10월 21일, 에디슨 실용 탄소전구 발명, 텅스텐전구(1910년), 수은램프(1931년경), 형광램프(1935년), 할로겐 전구(1959년), 메탈핼라이드램프(1961년), 고압 나트륨 램프(1963년)로 발전했다. ()의 연도는 발명년도 또는 실용화 연도를 나타낸다

광원색 light soure colour;light source color

교통 신호등처럼 색을 일으키는 빛이 직접 광원에서 눈에 들어와 지각시키는 색을 광원색이라고 한다.칼라TV의 CRT색은 미세한 발광체에 의한 가법혼색으로 다양한 색을 만들어내므로 기본적으로는 광원색이다. 하지만 CRT가 밝은 환경에 놓여져 일정한 관찰거리에서 사과와 같은 구상체를 보면, 광원색이라고 느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색이 물체의 표면에 속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이런 색을 의사 표면색이라고 한다.

광자 photon

빛을 양자화한 입자로, 광양자 또는 포톤이라고도 한다. 이 광자의 개념은 플랑크의 양자론, 아인슈타인의 광양자설에 의해 확립됐다. 빛이 입자인지 파동인지는 뉴튼의 시대부터 논란이 있었지만 파동성과 입자성 이중성의 바른 이해는 양자 역학에서 얻어졌다. 이 이중성은 빛의 진동수를

upsilon

[Hz], 파장을

lambda

[m]로 할때 광양자의 에너지 E[Joule] 및 운동량 p[J·S/m]를 나타내는 관계식 E=

h upsilon

p=

h upsilon /c=h/ lambda

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이다(단, h는 플랑크의 상수로 6.625×1034 J·S, c는 광속으로 2.998×108[m/s]). 즉, 광양자의 에너지는 진동수에 비례하므로, 진동수가 높은 빛, 바꾸어 말하면 파장이 짧은 빛일수록 입자성이 현저해진다. 하지만 파장이 길어지면 광양자 1개당 에너지가 적어져 측정할 수도 없다. 이런 경우는 전자파를 연속적인 파로 취급하게 되고, 빛의 파동성과 입자성은 양자역학에 의해 모순없이 이해할수 있다. 광자의 수를 단위로 방사의 크기를 측정하는 양을 광자량이라고 한다. 예를들어 광자수나 단위시간당 광자수를 나타내는 광자속이 있다.

광전자 방출효과 photoemis-sive effect

고체안의 전자가 빛의 흡수로 에너지를 얻어 고체표면에서 광전자가 되어 일탈하는 현상. 광전관의 원리이다.

광전지 photovoltaic cell

금속과 반도체 또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접합부에 입사한 방사(빛)에 의해 전자 또는 정공이 생성되고, 그 결과 기전력이 발생하는 소자. 셀렌 광전지, 실리콘 광전지가 있다. 비교적 기전력이 커서 전압 발생소자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발생전압이 높아지면 방사(빛)의 강도가 기전력이 비례하지 않는다. 따라서 측광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하저항을 줄여 기전력을 억제하고, 방사(빛)의 강도와 광전류의 비례관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전효과 photoelectfic effect

물질이 빛을 흡수해서 자유전자(전도전자포함)를 만드는 현상, 전기 전도도의 증가나 기전력이 나타나는 내부 광전효과와, 고체 표면에서 광전자가 방출되는 외부 광전효과가 있다.

광 천정 luminous ceiling

천정 전면을 확산투과성의 투광 패널(젖빛 플라스틱의 몰드 패널이나 파형 패널)로 덮고, 그 상부에 광원을 배치한 조명방법을 말한다. 상부에 배치한 광원으로 투광 패널을 일정하게 비추고, 투과하는 부드러운 조명광을 이용하려는 것이다. 패널에 의해 광원이 직접 보이지 않으므로 광원이 많고 적은 것에 따라 보이는 모습이 변하지 않는다. 또한 천정면의 어둠이 해소되어 넓은 느낌이 드는 특징이 있다.

광택도 glossiness

정반사광의 비율이나, 확산 반사광의 방향분포 등에 주목해서 물체 표면의 광택 정도를 양적으로 나타낸 값이다. 경면 광택도, 대비 광택도, 선명도 광택도 3종류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 [%] 나타낸다. 경면 광택도는 정반사 방향으로의 반사강도로 광택도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비금속면에서 면의 평평함에 관계하는 물리적인 의미의 광택도를 측정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도료, 도자기, 플라스틱에 대해 공업적으로도 가장 폭넓게 이용하는 방법이다. 경면 광택도 측정방법이 KS A0069에 규정되어 있다. 대비 광택도는 확산광 강도에 대한 정반사광 강도의 비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경면 광택도보다 눈의 감각에 가까우므로 주관적인 광택도라고도 부른다. 선명도나 광택도는 먼 거리의 광원을 물체표면에 비추어 그 선명도로 판정하는 방식을 수량화한 것이다. 따라서 장거리 물체의 상이 흐리더라도 비치게할 필요가 있으며 광택도가 낮은 면의 측정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광효과 photoeffect

빛이 물질이나 생물, 생체에 작용해서 생기는 물리적,화학적,생물적변화. 이 경우 빛을 에너지원으로 취급하는 경유와 정보원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있다.

물질이나 생물, 생체에 물리적, 화학적, 생물적 변화를 일으키는 빛의 효력 과정을 광작용이라고 불러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외광을 광자(photon)라고 하며 입자적으로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

구형광속계 sphere photometer,integrating photometer

적분구를 이용해, 안에 놓인 광원의 전광속을 적분구 내면의 조도 또는 적분구에 만든 창의 휘도로 부터 구하는 장치. 램프 또는 기구의 크기와 비교해 적분구의 직경이 충분히 커야 되며, 상당히 장치의 규모가 크지만, 배광측정을 하지 않고 직접 전광속을 측정할 수 있어 편리하다.

국부적 전반조명 localized general lighting

넓은 피조면에 몇가지 시각작업이 혼재하고 각각 다른 조명 레벨을 필요로 하는 경우, 시각작업별로 보다 좋은 조명을 전반적으로 하는 조명방식. 예를 들어 세밀한 작업을 하는 영역(범위)에는 고조도, 그렇지 않은 영역은 비교적 저조도의 전반조명을 하는 것으로, 조명의 점멸제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부조명 local lighting

비교적 작은 영역이나 특정한 위치·장소를 조명하는 방식. 정밀작업과 같이 고조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 전반조명으로 달성하려고 하면 경제성이 없고 작업 종류에 따라 손 그림자가 생긴다. 이것을 보완하는 의미에서 국부조명 방법을 이용한다. 이 조명은 단순하게 밝게 하는 것 뿐만아니라 장시간의 작업에 고통이나 피로를 동반하지 않는 시각환경을 만들어, 시야내의 휘도비를 줄이고 눈의 피로를 방지해야 된다. 도로조명에서는 교차점, 교량, 인터체인지와 같이 필요한 장소를 국부적(연속적이 아니다)으로 조명하는 것을 말한다.

굴절 refraction

방사원에서의 방사나 광원에서의 빛이, 다른종류의 매질 사이의 경계면을 통과할때 진행방향이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균등확산면 Lambertian surface

어떤 면의 법선방향의 방사강도 Ien[W/sr]과

theta

방향의 방사강도 Ie(θ)[W/sr]사이, 또는 법선방향의 광도 Ivn[cd]과 θ방향의 광도 Iv(θ)[cd]사이에 램버트의 여현법칙(램버트의 법칙 또는 간단하게 여현법칙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균제도[조도의] uniformity ratio of illuminance[on a given plane]

어떤 면위에 존재하는 조도값중 한정된 범위에서 평균 조도치에 대한 최소 조도치를 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소 조도(Emin), 평균조도(Eave)로 하면 다음식이 된다. 균제도=Emin/Eave 또한 최소조도에 대한 최소조도의 비, 최대조도에 대한 평균조도의 비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글레어 glare

시야안에 휘도가 높은 광원, 반사물체 등이 있어, 여기에서 빛이 눈에 들어와 대상이 잘 안보이거나 눈부셔 불쾌감을 느끼는 상태.

글로브 glove

광원에서 방사되는 빛의 배광 또는 광색을 바꾸기 위해. 투명 또는 확산 투과성 재료로 광원을 덮어 보호하는 것으로, 조명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이다.

글로우 방전 glow discharge

음극에서의 2차 전자 방출이 열전자 방출보다 한층 큰 방전. 음극강하가 크고(70[V] 또는 그 이하) 음극에서의 전류밀도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글로우 스타터 glow starter

바이메탈을 가진 방전관으로 만들어지는 스타터. 형광램프용은 대부분 이 스타터이다. 점등관이라고도 한다.

 

냉음극 방전램프 cold cathode discharge lamp

글로우 방전의 양광주, 또는 음 글로우에서 발광하는 방전램프(IEC/CIE에서는 음 글로우로 발광하는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를 말한다. 방전유지에 필요한 방전전류는 주로 음극의 2차 전자 방출에 의한다. 음극강하(음극 근처의 공간전하에 의한 전위차)는 비교적 크고(70[V]이상), 음극에서의 전류밀도도 비교적 크다(10[A/㎡]정도). 네온관이 여기에 속한다.

네온관 neon tube

주로 네온가스의 글로우 방전 양광주에 의해 발광하는 관형 방전램프를 말한다. 동일한 원리로 네온 이외에 수은. 헬륨, 질소의 글로우 방전램프도 포함해서 부르는 경우가 많다. 가늘고 긴 유리관의 양끝에 원통형(범종) 또는 원추형 전극을 봉지하고, 수100[Pa] 압력의 네온과 같은 불활성 가스나 수은이 봉입되어 있다. 점등장치는 고전압으로 소전류인 네온 트랜스를 사용한다. 적색광은 네온의 발광이고, 백색광, 청색광, 녹색광은 수은과 아르곤의 혼합광이다. 또한 유리 내면에 형광체를 도포해 각종 발광색을 내며 착색유리를 이용한 짙은 색의 것도 있다. 용도는 네온사인 등의 디스플레이에 사용한다.

네온램프 negative-glow lamp

네온 또는 아르곤 가스의 글로우 방전의 네거티브 글로우로 발광하는 방전램프이다. 구조는 유리구에 1쌍의 전극을 0.3∼2[mm]간격으로 봉하고 저압의 네온, 아르곤, 크세논등의 희유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네온에 아르곤을 미량 봉입한 것이 많이 사용되며 오렌지색 발광이다. 유리구의 내면에 형광체를 도포해 초록색인 것도 있다. 점등회로는 보통, 네온램프에 직렬로 저항을 접속하는 방식이다. 소비전력은 수10[mW]∼수[W]로 적으며 수명이 길지만 효율은 약 0.3[lm/W]로 낮다. 표시용 이외에 정전압 회로소자로 사용된다.

네온사인 neon sign; luminous tube sign

네온 기타 가스방전을 일으키는 냉음극 방전램프를 이용해 문자, 도형을 표시하고, 광색이 다른 관의 조합, 점멸의 반복으로 유목성의 효과를 높이도록 만든 광고 또는 표식으로 전기 사인의 일종.

노면휘도 road surface luminance

자동차 운전자의 눈으로 본 도로면의 휘도. 일반적으로 말하는 노면휘도란, 투시적 분할법 또는 평면적 분할법에 의한 통상 시야범위내에서 측정, 계산된 노면휘도의 평균치를 말한다. 보통 시야범위내란 주행차선 중앙부 1.5[m]의 위치에서 전방 86[m]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시각 1⁗의 범위를 말한다.

니트 nit

휘도의 단위[nt]로 나타낸다. 1[nt]=1[cd/㎡](평방미터 당 칸델라)로 현재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특히 국제 단위계(SI)와 병용하면 안된다.

 

다운라이트

보통 천정에 매입되는 소형 조명기구. 〔1〕CIE/IEC 용어“downlight”는 협조형 배광에만 한정하고 있다. 넓은 의미의 다운라이트에 대응하는 영어는 없다. 〔2〕미국어의 “downlight”는 하향 배광의 매달기형, 직접 설치형도 포함하고 있다. 〔3〕일본 조명기구공업회 규격, JIL 5002∼1987 다운라이트에서는 상기 의미 이외에 매입구멍의 지름 또는 각 변을 25[cm] 이하로 정하고, 시공시에 단열재에 대해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을 구분하고 있다. 후자는 단열재와 기구 사이에 일정한 이격거리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이 규격에서 영문명은 “small recessed luminaire”이다.

다이크로익 미러 dichroic mirror

빛을 두개의 파장영역으로 분할하는 필터. 2장을 조합하여 빛을 빨강, 초록, 파랑 3색으로 분해하는데 많이 이용한다.

도로조명 road lighting

자동차 교통용의 도로, 보행자 전용도로 또는 보·차도의 구별이 없는 도로에 교통안전, 범죄방지, 원활한 통행의 보조를 주목적으로 설치하는 조명을 말한다. 이 밖에 지역의 활성화, 상업활동의 진흥, 도시경관의 정비 등의 목적을 겸하는 경우도 있다. 좁은 뜻으로는 자동차 교통용 조명에 한정해서 도로조명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도로표식 traffic sign

교통중인 차량 및 보행자에 대해 안내·경계·규제 또는 지시를 전하기 위해 도로상에 설치된 표시시설.

도입선 lead-wire

베이스에서 필라멘트 또는 전극까지 전류를 전달하는 금속도체, 내부 도입선, 봉착부 도입선, 외부 도입선이 있으며, 특히 봉착부 도입선의 선팽창률이 스템유리의 선팽창률과 같을 필요가 있다. 현재는 일반적으로 백금 대용선으로 니켈강에 동을 입힌 듀멧선(dumet wire)을 사용한다.

등가 광막휘도 equivalent veiling luminance

글레어가 일어나면 눈부심 때문에 대상이 잘 안보이고 대상과 배경의 휘도대비가 저하해서 보인다. 이상태에서 휘도차의 식별역을 ΔL로 한다. 글레어 광원을 제거하면 눈부심이 없어지고 휘도대비가 원래로 돌아가 잘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대상과 배경의 휘도를 균등하게 상승시켜, 대상과 배경에 광막을 겹친 것과 동일하게 하면 다시 휘도대비가 저하해 보임이 변한다. 이렇게 하여 휘도차의 식별역이 글레어가 존재했을 때와 동일한 ΔL로 될 때까지 대상과 배경에 겹쳐지는 휘도를 상승시켜 이 讴을 Lev로 한다. 이 Lev는 글레어에 의한 보임의 저하를 광막휘도에 의한 시각저하로 치환한 것으로 볼수 있다. 따라서 Lev를 등가 광막휘도라고 한다.

등가휘도 equivalent luminance

임의의 휘도분포 및 분광분포를 갖는 시야에 시각계가 순응하고 있을때 이와 동일한 밝기의 순응상태를 주는 기준 시야(비교시야) 휘도. 기준시야의 조명에는 정해진 분광분포를 갖는 광원, 예를들어 백금의 응고점 온도(2042[K])에 있는 흑체와 동일한 분광분포를 가진 광원을 이용한다.

등조도 곡선 isoilluminance curve

어떤 면위의 등조도 점을 연결한 곡선. 어떤 면위의 밝기(조도)의 분포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이용하며, 지도상에 나타나 있는 등고선과 동일하게 조도가 같은 점을 연결한 몇 개의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곡선의 간격이 조밀할수록 조도변화가 심하며 간격이 듬성듬성한 곳은 조도가 완만하게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다.

등휘도 곡선 isoluminace curve; isolumince line

어떤 면상의 등휘도 점을 연결한 곡선. 어떤 면상을 어떤 방향에서 봤을 때 밝기(휘도)의 분포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이용하며, 지도상에 나타나 있는 등고선과 마찬가지로 휘도가 같은 점을 연결한 몇 개의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곡선의 간격이 조밀할수록 휘도변화가 심하고, 간격이 듬성듬성한 곳은 휘도변화가 완만한 것을 나타낸다. 등휘도 곡선의 표현방법에는 원근감이 있는 투시도법으로 나타태는 경우와, 지도와 같은 평면도로 나타내는 방법이 있다. 등휘도 곡선의 형상(휘도분포의 상태)은 시각대상물이 동일면에 있어도 보는 방향에 따라 다르다.

 

라이트 업 light up; exterior decorative lighting

건축적, 미학적, 조형적으로 가치가 있는 구조물(역사적 건조물 등)이나 상업용 건물, 자연 경승지 (벼랑, 협곡, 폭포 등), 교량·댐·탑 등의 구조물, 미술품(조각상, 조각 등), 수목, 꽃, 분수와 같은 대상물을, 빛을 이용해서 연출해 양호한 야간경관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넓은 뜻으로 레이저 광선이나 탐조등에 의한 퍼포먼스와 야간경관을 충분히 의식해서 계획하는 도로조명(교량조명)를 포함해서 라이트업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래드룩수 radlux

광속발산도의 단위로, [rlx]로 나타낸다. 1[rlx]=1[lm/㎡]으로 현재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래피드 스타트형 형광램프 starterless fluorescent lamp; rapid-start fluorescent lamp

저전압 권선을 가진 안정기로 전극을 예열함과 동시에, 전극간에 안정기의 2차전압을 인가해서 시동하는 형광램프이다. 스타터는 불필요하며 비교적 낮은 전압인가로 1∼2초만에 곧바로 점등한다. 유리관의 내면 또는 외면에 방전하기 쉽게 투광성 도전성막(산화 주석이나 산화이트륨)또는 도체를 붙인다. 조명기구에 시동보조 도체를 설치한 경우에 사용하는 램프는, 유리관 외면에 실리콘 등의 발수처리를 해서 오염에 의한 표면저항의 저하를 방지한 것도 있다. 사무실조명, 공장조명처럼 한번에 많은 램프를 점등하는 장소에 많이 사용한다.

램버트 lambert

휘도의 단위로, [L]로 나타낸다. 균등확산면의 광속 발산도에서 이끌어낸 것이다. 1[L]은 면적 1[㎠]당 1[m], 즉 1[lm/㎠]의 광속 발산도를 가진 균등 확산면의 휘도 크기이다.

램프 lamp

조명용으로 사용하는 인공광원을 총칭한 호칭이다.

램프 전압 lamp voltage [of a discharge lamp]

방전램프의 안정 점등상태에서 전극간의 전압.

램프 효율 luminous efficacy [of a lamp] ☞ 효율[램프의].

레이저 laser

레이저는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emmission of radiation의 머리글자로 이루어지는 합성어이다. 원자나 분자에 의한 방사의 유도방출을 이용해 빛의 증폭이나 발진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방사를 유도방출시키려면, 레이저 매질에서 어떤 여기방법에 의해 높은 에너지 준위에 있는 원자밀도가 낮은 에너지 준위에 있는 원자밀도보다 큰 상태(반전분포 또는 음온도 상태)를 만들어낸다. 높은 에너지 준위에서 낮은 에너지 준위로 옮길 때 유도방출이 일어나고 이것이 빛의 흡수보다 상회하면 코히런트한 빛에 증폭이나 발진시킬 수 있다. 반전분포를 계속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 매질을 여기하는 것을 펌핑이라고 한다. 펌핑용 여기원으로 빛(할로겐 전구, 크세논 램프, 크립톤 방전램프 등), 전자빔, 방전, 플라즈마, 화학반응, 주입전류를 이용한다. 광공진기는 레이저 매질로 중폭된 광빔을 정궤환해서 레이저 발진을 실현하기 위해 한쌍의 반사경을 이용한다. 발진 제어소자는 발진 파장과 출력 파형을 제어하는 것이다. 레이저는 연속한 간섭성이 좋은 코히런트한 전자파로, 주파수의 변동범위가 적고 단색성이 뛰어나다. 또한 지향성, 에너지 ?! 筠?, 집중도에서 현저하게 우수하다. 레이저의 발진파장은 100[nm] 부근의 진공 자외선에서 자외, 가시, 적외, 원적외, 밀리파의 범위에 이른다. 주요용도는 계측관계, 통신(광통신), 레이더, 분석기기, 칼라 홀로그래피, 디스플레이. 수술용 레이저메스, 레이저 가공(절단, 용접), 광 비디오디스크, 광프린터, 바코드 리더 등으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레이저 발진은 1960년 Maiman이 루비를 이용해서 처음 실험에 성공한 이후 헬륨-네온 레이저, 유리 레이저, 탄산가스 레이저의 발견이 이어지고, 1970년에는 반도체 레이저의 실온 연속발진에 성공하였다. 레이저의 종류는 레이저 매질, 동작원리에 따라 기체 레이저, 액체 레이저, 고체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색소 레이저, 엑시머 레이저가 있다.

루멘 lumen

광속의 단위로 [lm]으로 나타내며 국제 단위계(SI)로 정해져 있다. 1[lm]은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1[cd]의 광도를 가진 점광원에서, 입체각 1[sr]의 원뿔 모양 안으로 방출하는 광속의 크기이다. 파장 555[nm], 방사속 1/683[W]의 단색방사 광속도 1[lm]이다.

루미네센스 luminescence

원자, 분자, 이온 또는 전자가 외부에서의 에너지를 흡수해서 여기, 이온화 또는 가속된 뒤, 그 에너지의 일부나 전부를 전자파 방사로 방출하는 과정이나 방출된 방사.

루버 louvre; spill shield; louver

확산투과 또는 불투명 차광판을 기하학적으로 배치하고, 광원의 직사광을 주어진 범위 이외에서는 차단하도록 만든 조명기구, 결국 조명기구의 눈부심을 개선하기 위해 루버의 바로 아래 방향에 대해서는 광원의 휘도특성을 잃지 않고 차광하고 싶은 각도의 방향에 대해서만 휘도를 저하시키는 특성이 있다.

룩스 lux

조도의 단위로 [lx]로 나타낸다. 국제 단위계(SI)로 정해져 있으며 1[lx]는 광속 1[lm]의 빛으로 면적 1[㎡]의 면을 균등하게 조사했을 때 그 면상의 각 점의 조도 크기이다.

 

먼셀 표색계 Munsell system

핑크색 장미, 와인레드, 흰 장미, 진홍색 장미처럼 색 이름으로 장미의 색을 나타내는 다양한 말이 있다. 하지만 꽃의 색이 무수하게 많아지면 색 이름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색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1905년 먼셀(A.H.Munsell)은 색을 기술하기 위해 색표를 계통적으로 배열하고 색기호를 동반한 색채 표준을 정하고, 이것고 대상색을 비교해서 같은 색의 색채표준 색기호로 대상색을 표시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이 방법은 색의 표현을 색의 성질[색상(먼셀휴)], 색이 명암정도[명도(먼셀 밸류)], 색상이 강도 정도[채도(먼셀 크로마)] 3속성으로 한다. 색상은 빨강(R), 노랑(Y), 초록(G), 파랑(B), 보라(P) 5가지 색상을 원 위에 균등하게배치하고, 각각의 반대색상을 더한 10색상을 색상의 기본으로 한다. 여기에서 다시 20색상, 40색상…으로 세분한다. 단, 세분된 색상이 간격은 감각적으로 등간격이 되도록 색을 선정하고 있다. 명도는 가장 밝은 색(흰색)과 가장 어두운 색(검정) 사이를 감각적으로 등간격이 되도록 10단계로 분할한 스케일로 이루어져 있다. 10에서 0으로 수치가 작아질수록 어두운 색을 나타낸다. 흰색과 검정 사이에는 밝은 회색에?! ? 어두운 회색까지 있다. 전체적으로 색상이 없는 명암만 있는 단계가 있는데 무채색이라고 불러 색상을 느끼는 색(유채색)과 구별한다. 채도는 유채색의 색의 강도를 그 색과 명도가 같은 회색과 비교한 경우, 회색에서의 지각적인 간격을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진홍의 장미색을 1R4/14(1알4의14라고 읽는다)처럼 색상, 명도 및 채도의 값을 순서대로 표시한 기호로 나타낼 수 있다.

메탈핼라이드 램프 metal halide lamp

금속의 할로겐 화물(나트륨, 탈륨, 인듐, 스칸듐, 디스프로슘, 주석의 요오드 화합물의 단체 또는 조합)의 증기중에서 아크방전으로부터 방사하는 금속특유의 빛을 이용하는 고휘도 방전램프이다. 발광관은 석영 유리로 만들고, 양끝에는 전극을 봉하고 안에 수은, 희유가스(아르곤) 이외에 금속 할로겐 화물이 봉입되어 있다. 외관 유리안에는 질소가스와 같은 불활성 가스가 봉입되어 있거나 진공이다. 전극간의 아크방전으로 금속 할로겐 화물은 금속원자와 할로겐원자로 분해되고 금속원자의 여기·전리에 의해 금속 특유의 스펙트럼을 발광한다. 나트륨, 탈륨은 선 스펙트럼이고, 주석의 할로겐 화물인 경우는 분자발광이 많고 연속 스펙트럼이다. 발광금속에 따라 분류하면 스칸듐(Sc)-나트륨(Na)계, 나트륨(Na)-탈륨(Tl)-인듐(In)계, 디스프로슘(Dy)-탈륨(Tl)계 및 주석(Sn)계 4종류가 있다. 〔1〕Sc-Na계는 Sc의 많은 스펙트럼과 Na의 등황색(589[nm]) 선 스펙트럼 조합램프로 효율이 좋고 주류이다 (400[W]에서 100[lm/W], 색온도 3800∼4000[K], 평균 연색 평가수 Ra:65-70).〔2〕Na-Ti-In계는 Na의 등황색, Ti의 녹색(535[nm]), In의 청색(451[nm]) ! 선 스펙트럼의 조합램프이다. (400[W])에서 80[lm/W], 색온도는 4200∼5500[K], 평균 연색 평가수 Ra는 65∼70). 〔3〕Dy-Tl계는 Dy의 많은 스펙트럼과 Tl의 녹색 선 스펙트럼의 조합램프로 연색성이 좋다. (400[W]에서 70∼80[lm/W], 색온도는 4300∼6000[K], 평균 연색 평가수 Ra는 85∼90). In, 세슘(Cs), Na를 추가한 것도 있다. 〔4〕Sn계는 연속 스펙트럼으로 연색성이 상당히 좋다(400[W]에서 50[lm/W], 색온도는 5000[K], 평균연색 평가수 Ra는 92). 메탈핼라이드 램프는 고압 수은램프보다 시동전압이 높은 경향이 있다. 하지만 봉입가스로 네온과 아르곤(크립톤)의 혼합가스(패닝효과에 의한 시동전압 저하)를 사용하거나 바이메탈 스위치 또는 점등관과 겸용해서, Sc-Na계, Na-Tl-In계에서는 일반 유도형 고압 수은등 안정기로 점등할 수 있는 저시동 전압형이 있다. 기타 다른것은 2차전압을 높게 하거나 고전압 펄스를 발생하는 시동기를 가진 전용 안정기를 사용한다. 광색이 좋고 연색성이 비교적 우수하며 효율도 수은램프의 1.5배이다. 하지만 수명, 광속 유지율이 다른 고휘도 방전램프보다 떨어지는 종류가 있다, 용도는 옥내외 스포츠 시설, ! 고천정 공장, 사무실, 점포의 조명이 많다. 특수한 메탈핼라이드 램프로 디 스프로슘-홀늄(Ho)-툴륨(Tm), 나트륨-튤륨-인듐(또는 갈륨[Ga])및 주석-인듐 조합의 할로겐 화물이 들어간 쇼트 아크형 램프는, 연색성이 우수하고 고휘도이므로 영사기용, TV·영화촬영용에 사용한다. 봉입금속에 따라 특유의 빛을 낼 수 있으므로 용도에 맞는 램프가 있다. 인쇄·제판 인화용(갈룸[Ga]이나 납[Pb] 주입), 잉크 경화용(철[Fe] 주입), 광화학 반응용(나트륨, 탈륨 주입)이 실용화되어 있다. 1961년 레일링(미국, G.H.Reiling)이 발광관내에 수은 이외에 각종 금속 할로겐 화물(Na, Tl, In)을 첨가해서 고압 수은램프보다 효율, 광색, 연색성이 뛰어난 램프를 특허 출원한 것이 시작이다.

명도 ligtness

물체 표면색의 밝기를 표준 백색면에 대한 상대적인 밝기로 나타낸 것이다. 먼셀 밸류처럼 지각적인 척도가 되는 것은 명도지수라고도 한다.

명순응 light adaptation ☞ 순응

무대조명 stage lighting

고유의 무대에서 전개되는 연기, 연극에 대해, 그 연출의도(정경, 분위기. 감정 등)를, 빛의 명암과 색채로 올바르게 표현할 수 있는 설비와 조작기능을 가진 조명. 일반조명이 비교적 고정 조건하에 있는 것에 비해, 시간의 흐름과 함께 변화하는 조명이 생명이고 특징이기도 하다. 조명기구는 무대 상부에서의 매달기, 무대 위쪽, 아래쪽 측면, 무대의 바닥면, 객석 천정 등에 배치되면 각각 몇개의 분기회로로 점멸·조광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무대조명의 필요조도는 연출에 따라 다르므로 별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객석에서의 시선, TV방영을 고려하면 1500[lx] 정도는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채색 achromatic colour; achromatic color

흰색, 밝은 회색, 회색, 어두운 회색. 검정처럼 색상이 없는 색을 말한다. 먼셀 크로마가 0.2 이하인 색이 해당한다. 아주 약간만 색을 가진 색을 오프화이트, 오프그레이, 오프블랙이라고 한다.

물체색 nonluminous object colour; nonluminous object color

색의 지각은 빛에 의해 생기는데, 빛이 인간의 눈에 도달하는 경위에 따라 색 지각을 몇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종이에 작은 구멍을 뚫어 하늘이나 벽을 보면 구멍으로 보이는 색은 광택감과 투명감이 느껴지지 않을뿐만 아니라, 그 색이 어떤 물체에 속해 있는지 인식하기가 어렵다. 이렇게 보이는 색을 개구색이라고 한다. 개구색은 색상, 명도 및 채도의 지각을 동반한다. 사과의 빨강인지 빨강 필터의 색인지, 물체에서의 반사 또는 투과에 의해 색의 지각이 생기는 것인지를 인식할 수 있는 경우 그 색을 물체색이라고 한다. 물체색은 3속성 이외에 광택감, 투명감을 동반하는 것이다. 물체색중 물체의 표면에 속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색을 표면색이라고 한다.

 

반간접 조명 semi-indirect lighting

KS에 의한 정의는 「크기가 무한하다고 가정된 작업면에, 발산광속의 10∼40[%]가 직접 도달하는 배광을 가진 기구에 의한 조명」으로 되어있다. 즉, 기구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면을 경계로, 위쪽으로 나가는 광속이 90∼60[%], 아래쪽으로 나가는 광속이 10∼40[%]인 조명기구를 사용한 조명이다. 이 방법에서는 위쪽으로 나가는 빛이 아래쪽으로 나가는 빛보다 많다. 따라서 천정면에서 반사되어 확산된 빛이 조명의 질에 크게 영향을 주어 부드러운 분위기가 얻어진다. 효울은 별로 안좋으므로 천정면의 색을 연구해서 반사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reflection

방사원에서의 방사나 광원에서의 빛이 일정한 물체면상에 입사했을 때, 그 단색방사(광) 성분의 주파수를 변경하지 않고 입사측으로 돌아가는 현상을 반사라고 한다. 입사 에너지중 반사성분 이외에는 투과하거나 물체내에서 다른 에너지 형태로 변환해서 흡수된다. 이들 반사, 투과, 흡수의 비율은 물체와 단색방사(광) 성분의 주파수에 따라 다르다. 반사는 형태에 따라 정반사, 확산반사. 균등반사가 있다. 반사면이 안료, 종이, 헝겊인 경우 방사의 일부가 일단 매질안에 들어가 그 내부에서 산란을 받고 돌아가는데 금속이나 유리는 표면에서 그대로 반사한다. 이런 반사를 또는 계면반사라고 한다.

반사 글레어 glare by reflection

휘도가 높은 광원이나 창문에서의 빛이 브라운관의 표면, 책상면, 광택이 있는 종이 등에서 반사되어 눈에 들어와서 생기는 글레어. 반사에 의한 빛과 시각대상이 겹치면 시각대상의 휘도대비가 저하해서 보기 힘들어진다.

반사율 reflectance

어떤 물체에 입사한 방사속 또는 광속에 대한 반사한 방사속 또는 광속의 비를 반사율이라고 한다.

반직접 조명 semi-direct lighting

KS에 의한 정의는 「크기가 무한하다고 가정된 작업면에 발산광속의 60-90%가 직접 도달하는 배광을 가진 기구에 의한 조명」이라고 돼 있다. 즉, 기구중심을 통과하는 수평면을 경계로 위쪽으로 나가는 광속이 40∼10%, 아래쪽으로 나가는 광속이 60∼90%인 조명기구를 사용한 조명이다. 이 방법은 효율을 중시해서 대부분의 빛을 아래쪽으로 내보낸 경우 천정면이 어두워져 개방감을 잃고 답답해지는 것을 고려해, 위쪽으로도 빛을 내보내 천정면 밝기의 확보를 노린 것이다.

발광관 arc tube

방전램프의 아크 발광이 보이도록 만든 투명성 용기, 일반적으로 고압 수은램프, 메탈핼라이드 램프에서는 석영 유리관을 사용한다. 고압 나트륨 램프에서는 투광성 알루미나 세라믹관을, 저압 나트륨 램프에서는 나트륨이 침입하지 않는 특수 유리관을 사용한다.

발광 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류로 발광하는 주입형 일렉트로 루미네센스의 발광현상을 이용한 광원이다. LED의 재료는 일반적으로 Ⅲ-Ⅳ족의 화합물 반도체를 사용한다. pn접합을 통해 순방향의 전류를 흘리면, n형 영역에 있던 전자가 p형 영역의 정공과 재결합한다. 이때 빛이 발생한다. LED는 긴 수명, 높은 신뢰성, 소형경량, 용이한 구동이 특징이다. 표시램프, 숫자표시, 레벨 미터 등의 디스플레이용 이외에 프린터, 팩시밀리용 광원에 사용한다.

발광체 luminous element

빛을 발생하는 부분.

발광 효율 luminous efficacy[of radiation]

이것은 기호:K, 정의 K=Φνe[lm/W] 종전에 광원효율[lm/W] 이라고 하는것은 이번에 발광효율 대신「방사의 시감도」를 사용하도록 권고하게 됐다. ☞ 방사의 시감도.

밝기 brightness

빛을 발하는 대상, 또는 빛을 반사하거나 투과하는 대상을 봤을 때 시각계가 지각하는 명암에 관한 심리적인 양.

방사 [electromagnetic] radiation

전자파의 형태로 에너지가 방출 또는 전달되는 현상이나 이 전자파 자체를 방사라고 한다. 전자파로서의 방사는 잔잔한 연못의 수면을 퍼져가는 물결과 같은 파동성과, 광자라는 에너지의 “알맹이” 집합이라는 입자성의 상이한 2면적인 성질을 갖고 있다. 이것으로 방사의 모든 현상을 상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예를들어 회절가 간섭현상은 파동성으로, 광전현상은 입자성으로 설명된다. 파장에 따라 전파, 적외선, 빛, 자외선, X선, 감마선, 우주선으로 구분되며 각각 특유의 성질을 갖고 있다.

방사량 radiant quantities

넓은 의미로는 방사 에너지 및 이값의 단위 시간당 비율, 이들의 면적밀도, 입체각 밀도, 면적밀도의 입체각 밀도를 총칭한다. 좁은 의미로는 위 방사량중 방사 에너지가 주울[J]을 단위로 측정하는 양을 말한다. 예를들어 방사 에너지, 방사속, 방사강도, 방사휘도를 들 수 있다.

방사속 radiant flux; radiant power

단위 시간당 방사 에너지의 비율을 방사속 또는 방사파워라고 한다. 이 경우 공간을 규정하는 개념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어느 면을 통과한다」나 「어느 입체각에 포함된다」를 부가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기호에는 Φe, Φ, P를 이용하며 단위는 와트[W]이다.

방사 에너지 radiant energy

방사상태 즉 전자파 형태로 방출되어 전파 또는 입사하는 에너지를 방사 에너지라고 한다. 기호에는 Qe, Q를 이용하며 단위는 주울[J]이다.

방사조도 irradiance

방사조도는 단위 면적당 입사하는 방사속으로 주어진다. 기호에는 Ee, E를 이용하며 단위는 와트/평방미터 [W/㎡]이다.

방사휘도 radiance

방사휘도는 방사원과 관측점 양쪽에서 정의되어 있다. 방사휘도의 기호에는 Le, L을 이용하며 단위는 와트/평방미터·스테라디안[W/㎡·sr]이다. 방사원상의 일정한 한 점에서 주어진 방향으로의 방사휘도는, 그점을 포함하는 미소면적의 주어진 방향의 방사강도를 미소면적의 그 방향으로의 겉보기 면적으로 나눈 것이다. 다음에 관측점상의 한 점에서 본 발광면의 방사휘도는, 이점을 통해서 보는 방향에 수직인면의 방사휘도를 이 점을 정점으로 하고 방사원을 바닥으로 하는 원뿔형의 입체각으로 나눈 것이다.

방전램프 discharge lamp

기체(네온, 크세논 등), 금속증기(수은, 나트륨, 스칸듐 등) 또는 이들 혼합체의 방전으로 발광하는 램프를 말한다. 발광하는 유리구(관)부분을 방전램프라고 하며, 안정기, 조명기구를 포함한 장치를 방전등이라고 칭해 구별하는 경우가 있다. 기체를 봉입한 유리관의 양끝에 전극을 봉하고 전극간에 전압을 인가하면 방전한다. 방전현상에 의한 발광은 원자의 여기와 전리로 이루어진다. 음극 부근의 방전전류 밀도를 증가시키면 글로우 방전에서 아크방전이 된다. 램프는 음 글로우와 양광주의 발광을 이용한다. 글로우 방전을 이용하는 광원으로는 양쪽 전극을 접근시키면 양광주 발광이 없어져 음 글로우의 발광만 되며 이것을 이용하는 것이 네온(글로우)램프이다. 한편 전극을 떼고 양광주의 빛을 이용하는 것이 네온관(통칭:네온사인)이다. 아크방전을 이용하는 광원으로 저압 수은램프(형광램프, 살균램프), 저압 나트륨 램프, HID램프(수은램프, 메탈핼라이드램프, 고압나트륨 램프의 총칭), 크세논 램프가 있다. 방전램프의 전압 전류특성은 부 특성이다. 전류가 증가하면 전극간의 전압이 감소해 전류가 점점 증가하는 성질이 있어, 그대로 사용하?! ? 램프를 파손시킨다. 이것을 방지하고 안정되게 점등하려면, 램프와 직렬로 안정기를 접속해서 램프전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방폭 조명기구 luminaire for explosive atmosphere

가스폭발 위험이 우려되는 장소에서 안전하게 점등할 수 있도록 밀폐구조로 만든 조명기구. 사용장소에따라 적절한 구조가 법령으로 정해져 있다. 상세한 것은 노동부의 「공장 전기설비 방폭지침」에 따른다. 기구는 내압 방폭구조, 본질 안전증가 방폭구조 3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배광 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

광원 또는 조명기구의 각 방향에 대한 광도의 분포를 배광이라고 한다.

배광곡선 [spatial] distribution curve of luminous intensity

광원의 광중심 또는 조명기구의 측광중심에서 공간의 모든 방향으로 방사되는 빛의 광도분포(배광)를 나타낸 곡선. 상반구 광속은 수평면 보다 상부의 광속, 하반구 광속은 하부의 광속, 양쪽을 합한 것이 전광속이다.

배광 측정기 goniophotometer

광원, 조명기구 또는 반사, 투과물체에서의 빛(방사)의 방향성을 측정하는 장치. 광원이나 조명기구의 배광을 측정하는 것을 배광 광도계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반사나 투과물체에서의 빛의 방향성을 빛의 입사각 및 출사각을 변경해서 측정하는 장치를 특히 고니오포토미터(goniophotometer)라고 한다.

배기관 exhaust tube

유리구의 내부로 통해 그것으로 배기하거나 가스를 봉입하는 유리관.

백열전구 incandescent [electric] lamp

유리구 안의 필라멘트에 전류를 흘려 2000[℃]이상으로 가열해 열 방사에 의한 발광을 이용한 램프이다. 필라멘트는 가는 텅스텐선을 코일모양(단일코일 또는 이중코일)으로 만들어 사용하며 일반 조명용 전구는 이중코일이 많다. 유리구는 소다 석회 유리를 이용하며 형상은 서양배형과 구형이 많다. 투명 유리는 고휘도 필라멘트 때문에 눈부시다(글레어). 일반 조명용은 이것을 완화하기 위해 유리구 내면에 투광성이 뛰어나고 광 확산성이 좋은 백색 도장막(실리카)이 도포되어 있다(종전에는 프로스트 전구가 일반 조명용이었다). 유리구 안은 진공이거나 아른고, 질소, 크립톤 같은 불활성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일반 조명용 전구(220[V] 20∼100[W])는 아르곤(86∼98[%])과 질소(2∼14[%])가 봉입되며 점등시에 약 1기압(100[kPa])이 된다. 크립톤을 봉입한 전구는 효율을 향상시키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전구의 발광은 고온 필라멘트에서의 열 방사이다. 열방사는 고온이 되면 물질 내부에서의 원자, 분자, 이온의 열진동이 활발해져 에너지가 방사되는 현상으로 연속 스펙트럼의 백열발광이다. 따라서 연색성이 상당히 좋다. 일반 조명용 100[! W] 전구의 필라멘트 온도는 약 2500[℃](색온도 2854[K]로 높다. 입력전력에 대한 가시광의 변환율은 약 10[%]로, 적외선이 약 70[%]로, 방사하고 있다. 필라멘트 온도를 높여 광색을 좋게 만든 사진 촬영용의 색온도는 3360[K]이다. 필라멘트 온도를 낮추어 적외선의 방사를 늘린 것이 적외전구(색온도 2500[K])이다. 전구의 장점으로, 〔1〕점광원에 가깝고 빛의 제어가 용이하다. 조광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다. 〔2〕연색성이 좋고(평균 연색 평가수 Ra:100), 따뜻한 광색이다. 〔3〕점등이 간단하고 형광램프나 수은램프같은 방전램프에 부속하는 안정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4〕주위온도의 영향은 거의 없다. 〔5〕광속의 저하가 적다. 단점으로는, 〔1〕효율이 낮다. 〔2〕열선(적외선) 방사가 많다. 〔3〕유리구의 온도가 높다. 〔4〕전원전압 변동에 의해 수명과 광속이 영향을 받기 쉽다. 〔5〕수명이 형광램프 등에 비해 짧다.

법선조도 normal illuminance

광원이나 조명기구에서 나오는 빛의 입사방향에 수직인 면상의 조도. 즉, 조도를 구하는 점을 포함하고, 광중심과 그 점을 연결하는 선분에 수직인 면이 받는 조도를 말한다.

베이스 cap; base

램프를 소켓에 지지하고,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하는 램프 구성요소. 바람직한 재료는 전기저항이 적은 것. 잘 녹슬지 않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황동 또는 알루미늄을 사용한다.

보색 complementary colour; complementary color

가법혼색 또는 감법혼색으로 특정한 무채색을 만들 수 있는 2가지 색자극 또는 흡수 매질의 색.

보수율 maintenance factor

조명시설의 초기상태에서 대상면상의 평균조도를 어느 기간 사용한 뒤에도 유지될 수 있도록 초기 평규조도에 산입하는 비율이다. 이전에 이용하던 감광 보상률(depreciation factor)의 역수에 해당한다. 조명시설의 조도는, 설비 사용기간의 경과에 따라 광원의 광속 유지율이나 조명기구 반사면의 오염, 실내에서는 반사면의 오염등에 의해 저하한다. 이것을 고려해 광원의 교환시기, 청소간격을 설정한 보수율의 채용이 바람직하다.

볼츠만 상수 Boltzmann constant

기초상수의 하나. k로 나타낸다. k=(1.380658±0.000012)×1023[J·K1] (1986년 조정값)

분광[수식어] spectral

물체의 방사에 대한 성질을 나타내는 양을 단색방사에 관해 말하는 경우, 그 양의 명칭 앞에 붙는 수식어로 이용한다. 예를들어 「분광 투과율」, 「분광 반사율」, 「분광 응답도」 등이다. 양을 X로 한 경우 파장λ라면 양기호는 X(λ), 주파수 ν이면 X(ν)로 나타낸다. 어느 방사량의 분광밀도나 어느 방사량의 분광분포에 대해 그 양 앞에 붙어서 바꾸어 말하기 위한 수식어로도 이용한다. 예를들어「방사휘도의 분광밀도」를 「분광방사 휘도」, 「방사휘도의 분광분포」를 「분광방사 휘도분포」로 하는 것이다.

분광밀도 spectral concentration

어느 파장을 중심으로 하는 미소 파장폭 안에 포함되는 방사속이나 방사휘도같은 방사량의 단위 파장당 비율을 말한다. 기호는 Xe,λ, 단위는 (방사량의 단위)·미터[(방사량의 단위)/m]이다. 즉, 미소파장 dλ[m]안의 방사량이 dXe[방사량의 단위]이면 분광밀도 Xe,λ는 Xe,λ=dXe/dλ 가 된다. 일반적으로 「방사휘도의 분광밀도」처럼 방사량의 종류를 같이 기록한다. 단. 「분광」이라는 수식어의 사용에 관한 약속에 따라 이것을「분광 방사휘도」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파장 대신 주파수 ν[㎐]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 분광밀도의 기호는 Xe,λ(=dXe/dλ), 단위는 (방사량의 단위)·헤르츠[(방사량의 단위)/㎐]이다.

분산 dispersion

빛의 굴절율이 파장에 따라 달라서 생기는 현상이다. 프리즘을 투과한 빛의 진행방향이 파장에 따라 다른 것도 분산현상의 일례이다. 일반적으로 굴절율은 파장이 짧은 쪽이 크다. 광선이 균일한 물질안을 진행할 때. 빛은 전자파이므로 그 전장에 따라 물질안의 전자를 동요시킴으로서 빛이 산란된다. 이 산란광이 서로 간섭해서 그 결과 균일한 물질안을 광선은 진진하지만, 산란으로 위상이 어긋나고 그것이 파장에 따라 다르므로 진행속도는 파장에 따라 달라진다. 이것이 분산의 원인이다.

불쾌글레어 discomfort glare

강한 빛에 의해 불쾌한 느낌을 일으키는 글레어. 반드시 대상이 안보이게 되는 것은 아니나, 기분적으로 불쾌하기 때문에 피로가 늘어나거나 편안한 기분이 깨진다.

브래킷 wall luminaire; wall bracket

벽,기둥등의 수직면에 바로 설치하는 조명기구. 특정한 대상물을 비추거나 실내의 엑센트로서 장식을 겸해서 사용한다.

비시감도 spectral luminous efficiency [for an individual observer]

특정한 관측조건하에서 파장λm인 단색방사와 파장λ인 단색방사가 눈에 들어와 같은 밝기의 광감각이 생길때 파장λm의 방사휘도에 대한 파장λ의 방사휘도의 비의 역수를 비시감도라고 한다. 단, 파장λm은 이 값의 최대값이 1이 되도록 선택한다. 즉, 인간의 눈의 파장에 대한 밝기 감각을 상대값으로 나타낸 것으로 분광 시감효율에 해당한다. 관측자의 순응상태나 시야의 크기를 지정한 관측조건하에서도 비시감도에는 개인차가 있다. 따라서 수많은 사람의 평균을 구한 비시감도로 국제 조명위원회(CIE)에서 정한 CIE 표준 비시감도가 있다.

빔의 넓이(빔각) divergence; spread[of a projector,in a specified plane]

반사형 램프나 투광기의 배광은 강한 지향성을 갖고 있어 배광곡선을 극좌표로 나타내면 광축의 방향으로 광도가 날카롭게 돌출한 부분이 나타난다. 이것을 빛의 빔이라고 부른다. 빔각은 보통 광축상의 최대광도에 대해, 어떤 광도가 같은 2점이 이루는 각을 말한다. 결국 극좌표상의 2방향을 나타내는 각이 동경간에 이루는 각도의 범위가 된다. 배광곡선에서 최대광도의 50[%] 또는 10[%]인 광도를 나타내는 각을 이용한다. 전자는 반사형 램프, 후자는 투광기의 경우이다.

빔[빛의] beam

반사형 램프나 투광기처럼 지향성이 강한 배광을 가진 광원의 배광곡선을 극좌표로 나타내면 광축의 방향으로 광도가 날카롭게 돌출한 부분이 나타나는데 이 부분을 빔이라고 한다. 이런 강한 지향성을 가진 광원이 피조면의 조도분포에 주는 영향은 일반 광원의 경우처럼 전광속과 기구효율이 아니라 주로 광축의 광도, 빔의 퍼짐(빔각), 빔 광속에 따른다. 빔의 퍼짐은 광축의 최대광도에 대해 광도가 1/2(반사형 림프) 또는 1/10(투광기)이 되는 좌우 2방향을 연결한 각도로 빔광속은 빔 퍼짐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광속이다.

빛 light; optical radiation; [perceived] light

일반적으로는 가시방사, 즉 눈에 들어와 밝은 감각을 일으키는 방사를 빛이라고 하며 실용상 380∼780[nm]의 파장범위로 여겨진다. 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자외방사(자외선), 가시방사, 적외방사(적외선)의 총칭을 빛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국제 조명위원회(CIE)에서는 자외방사, 가시방사. 적외방사를 포함하는 100[nm]∼1[mm]의 파장범위를 광방사(optical radiation)라고 칭한다. 이것은 우리 인류가 생활하는데 있어 기본이 되는 태양의 빛속에는 가시방사 이외에 자외방사, 적외방사가 포함되어 있으며, 옛부터 이것을 종합해서 태양빛이라고 생각한 경위가 있기 때문이다. 빛이 시각계에 생기는 밝기 및 색의 지각·감각을 뜻하는 경우도 있다.

 

산란 scattering

빛이 입자 또는 물질에 닿아 진행방향을 바꾸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들어 진공안이나 균일한 투명 물질안에 수많은 미세한 입자가 존재하면, 여기에 입사한 광선은 빛을 산란한다. 콜로이드 용액이 혼탁하게 보이는 것도 이 때문으로, 이 현상을 틴달 현상이라고 한다. 파장에 비해 충분히 작은 입자에 의한 산란으로 파장변화를 동반하지 않는 산란을 레일리 산란이라고하며, 이 경우는 파장이 짧은 빛이 더 쉽게 산란한다. 즉, 공기중에는 기체 분자 이외에 먼지나 물방울이 있다. 또한 공기밀도의 흔들림이 있어 빛을 산란한다. 파랑이나 보라색이 빨강이나 노란색보다 파장이나 보라색이 빨강이나 노란색보다 파장이 짧아 산란되는 양이 많으므로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인다. 아침이나 저녁 무렵의 광선은, 공기중을 길게 통과하므로 파랑이나 보라색의 빛이 옆으로 흩어져 빨강색 빛이 많이 보인다. 원거리에서 적외선을 이용한 적외선 사진이 잘 찍히는 것도 적외선의 파장이 길기 때문으로, 가시광보다 중간에서 산란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살균램프 bactericidal lamp:germicidal lamp

저압(약 0.13[Pa]) 수은증기의 아크방전에 의해 방사하는 파장 253.7[nm](수은의 공명선)의 살균작용이 강한 자외선을 이용하는 광원이다. 유리관은 이 자외선을 잘 투과하는 특수유리를 사용하며 형광체는 도포되어 있지 않다. 기타 구조, 점등방법은 형광램프와 동일하다. 파장 250∼260[nm]의 자외선은 살균작용이 강해 식당의 조리실, 병원, 약품공장에 폭넓게 사용하고 있다. 300[nm] 이하의 자외선은 생물체에 유해하므로, 바로 보거나 피부에 조사하지 말것. 일반유리는 300[nm] 이하의 자외선을 거의 차단한다.

삼색 표색계 trichromatic system

3종류의 색광을 가법혼색하여 시료의 색과 등색해서, 3종류 색광의 혼합량에 의해 시료의 색을 표시하는데 계를 삼색 표색계라고 한다. 이것은 눈에 특성이 다른 3종류의 수용기가 있고 그 수용기 응답량의 대소에 의해 색의 보임이 정해진다는 생각에 따른것으로, 영 헬름홀츠의 3원색설이라고 부른다. 최근 전기 생리학의 진보에 따라 3종류의 수용기가 확인되고 있다.

상관 색온도 correlated colour temperature;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광원의 색도가 흑체 방사 궤적상에 있는 색도와 일치하는 경우에, 그 색도의 흑체온도로 광원색도를 나타내는 방법을 색온도라고 한다. 형광램프 등의 실용적인 광원의 색도는 흑체방사 궤적에 인접해서 분포하지만 완전하게 일치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광원과 가장 가까운 색으로 보이는 흑체방사의 색(온도)으로 표시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이것을 상관 색온도라고 한다. 색도도상의 거리가 지각적인 차이와 관계가 있도록 고안된 UCS 색도도(CIE 1960 UCS 색도도)상에 그려진 흑체방사 궤적에 대해 광원의 색도점에서 수선을 내리고 흑체방사 궤적과 교차하는 점의 색온도로 상관 색온도를 구할수 있다. 상관 색온도는 광원과 가장 가까운 색으로 보이는 흑체방사의 색(온도)으로 표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일반 조명용 램프처럼 흑체방사 궤적근방의 백색에 가까운 광원색을 나타내는데 편리하지만, 색조가 강한 색광의 표시에는 적용할수 없다. 흑체방사 궤적에서의 차이를 UCS 색도도상에서의 거리로 나타내고 상관 색온도와 같이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

상호 반사 interreflectio; interflection

여러 개의 반사면이 서로 빛을 반복해서 반사하는 것. 옥내에서는 조명기구에서 나오는 광속은 반사면에서 흡수되는 것과 반사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반사한 광속은 다른 반사면에 입사되고 이런 과정이 반복되어 상승효과가 일어난다. 실내에서 사용하는 조명기구의 조명률은 상호반사에 의해 상승되는 증가분을 포함한다. 벽면, 천정면, 바닥면 각각 반사율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이 때문이다.

색 colour; color

인간은 다양한 색에 둘러싸여 생활하고 있다. 따라서 색을 빨간 사과나 초록 잎처럼 물건에 속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빨간색이 사과에 속한 것은 아니다. 사과에서 장파장의 빛이 많이 반사되어 사람의 눈에 들어와 빨강이라는 지각을 일으키는 것이다. 빛이 눈에 들어오면 색의 지각이 일어난다. 색의 지각을 색 지각이라고 하는데, 색 지각은 눈에 들어오는 빛의 특성에 따라 색상(빨강, 노랑, 초록, 파랑), 명도(밝다, 어둡다) 및 채도(선명하다, 칙칙하다)의 속성으로 구분해 표현할 수 있다. 이런 표시를 색이 지각되는 측면의(심리적)표시라고 한다. 색이 지각되는 측면은 심리적인 색의 지각이므로 3자극치 만으로 정해지지 않는다. 보고 있는 색의 크기, 형태, 주변환경의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아 그 보임이 변화한다. 색이 지각되는 측면을 「지각 색」, 심리물리적 측면을 「심리물리색」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색대비 colour contrast; color contrast

색이 심신에 작용하는 심리적 효과의 하나로, 2가지 색을 동시에 봤을 때 일어나는 동시 대비와 순차적으로 2가지 색을 봤을때 일어나는 계시대비가 있다. 색 대비는 색상에 있어서는 2가지 색의 색상차가 커지도록 작용한다, 명도나 채도에서도 마찬가지로 2가지 색의 명도차 및 채도차가 커지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밝은 색과 어두운 색을 동시에 본 경우 밝은 색은 보다 밝게, 어두운 색은 보다 어둡게 보인다.

색도도 chromaticity diagram

색도 좌표를 x. y의 직교 좌표로 나타낸 것을 색도도라고 한다.

색상 hue

색 지각을 나타내는 3가지 속성의 하나로,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처럼 색의 성질을 표현하는 속성이다. 우리나라에서 말하는 색상은 먼셀 표색계에 따른 먼셀휴를 뜻하는 경우가 많다.

색온도 colour tenperature; color temperature

숯을 가열해 온도가 올라가면 빛을 발하게 된다. 이 때의 빛은 거의 숯의 표면온도에 의존하며 온도와 함께 밝기가 증가한다. 색도 빨강에서 점점 흰색이 늘어나 빨강→황적→흰색→파랑으로 변화한다. 이런 방사를 열 방사라고 한다. 열방사에 의한 빛의 색과 물체의 온도에 일정한 관계가 있어 물체의 온도를 빛의 색으로, 빛의 색을 물체의 온도로 표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에 설명한 방사는 물체의 표면상태에 따라 온도만으로 정해지지는 않지만 온도만에 의해 결정되는 방사를 내는 것으로는 흑체가 있다. 이 방사를 흑체 방사라고 부른다. 흑체는 온도에 따라 방사의 분광분포가 완전히 정해져 완전 방사체라고도 부른다. 흑체 방사의 분광분포는 플랑크의 방사법칙으로 계산할수 있으며 색도 궤적을 색도도 위에 그릴 수 있다. 이 궤적을 흑체 방사 궤적이라고 한다. 흑체 방사의 색도와 동일한 색도를 가진 광원이 있는 경우에 흑체 방사의 온도로 광원의 색도를 나타내는데 그 온도를 색온도라고 한다. 백열전구처럼 빨강이 강해 따뜻한 느낌의 빛을 색온도가 낮다고 하며, 형광램프처럼 파랑이 강해 시원한 느낌의 빛을 색 온도가 높다고 말한?! ?.

색채계 colorimeter

색채계는 색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색 자극치를 측정하는 장치의 총칭이다. 광전적으로 루터 조건을 실현해 3자극치를 직접 측정하는 장치를 광전 색채계라고 한다. 광전적인 수단에 따르지 않고, 시감으로 시료와 혼색장치에 의해 만들어내는 다양한 색을 등색시켜 혼색장치의 눈금으로 색 자극치를 측정하는 장치를 시감 색채계라고 한다. 색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분광 측광기를 이용해 파장에 대한 반사율(또는 휘도율)을 측정해 3자극치를 계산하는 분광 측색방법과, 계기의 지시값으로 직접 3자극치를 구하는 자극치 직독방법이 있다. 자극치 직독방법은 측정기로 사용한 조명계의 상대 분광분포와 수광계의 분광응답도 곱으로 정해지는 종합적인 분광특성이, 국제 조명위원회(CIE)에서 정한 등색함수와 표준광의 곱이 같거나 비례하면, 측정기의 지시값으로 직접 3자극치를 구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이 조건을 루터 조건이라고 한다. 색채계는 분광 측색방법과 비교해 조작이 간단하고 측정시간이 짧으며 장치가 비교적 저렴하다. 따라서 산업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있다.

서치라이트 searchlight

큰 광속의 광원을 사용해 빔의 넓이가 특히 좁고 축광도를 높여 거의 평행으로 내는 투사기, 보통 구경은 0.2[m] 이상으로 상당히 먼 거리까지 빔이 도달된다.

섬광 flash[of light]

지속시간이 짧은 강한 빛. 광원으로는 섬광 전구(주로 사진촬영용)나 크세논 플래시 램프(사진촬영, 복사기, 의료기기, 스트로보 스코프, 신호, 광화학 반응용), 크세논 펄스램프(인쇄제판용)가 있다. 광원 자체가 섬광이 아니라도, 정상광을 쵸퍼로 단속하거나, 정상광을 전기적으로 점멸시키거나, 지향성이 있는 정상광을 회전시켜 일정 방향에서 본 빛이 단속해서 보이도록 만든 것도 섬광이다.

소켓 lampholder

조명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으로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광원의 베이스를 삽입해서 정위치로 유지하는 장치.

수명[램프의] life[of a lamp]

램프로서의 역할을 못하는 사태가 될 때까지 점등한 시간이나, 동의 되어 있는 판정기준에 따라 역할을못할때까지의 시간.

수명시험 life test

램프를 규정조건으로 규정시간까지, 또는 램프가 수명이 다 될 때까지 점등하는 시험. 이 시험사이에 광학적, 전기적 특성의 측정이 규정간격으로 이루어진다.

수중조명 underwater lighting

물속의 대상물을 외부 또는 물속에서 볼 수 있도록 조명하는 방법. 경기용 수영장에서 이루어지는 경기나 연기, 수족관, 사육지의 식물, 생물, 어류의 감상·촬영을 위해 물속이나 그 근처에 조명기구를 배치하는 조명과, 물속에서의 시각작업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분류된다. 수중조명을 하는 경우, 물의 빛에 대한 투과율, 빛의 파장에 대한 선택성에 충분히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집어등으로 수은 램프계의 광원을 사용하는 것도 이 이유이다.

수직면 조도 vertical illuminance

법선 조도의 관찰 방향 조도. 즉, 조도를 구하는 점을 포함한 수직면이 받는 조도를 말한다.

수평면 조도 horizontal illuminance

광원 또는 조명기구에서 나오는 빛의 수평면상의 조도, 즉, 조도를 구하는 점을 포함한 수평면이 받는 조도이다.

순응 adaptation

시각계의 감도가,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 분광분포에 따라 변해, 대상이 잘 보이도록 시각계의 상태를 조절하는 현상. 밝아졌을 때 감도가 저하해 눈부심을 안느끼고 대상이 보이는 것을 명순응, 어두워졌을 때 감도가 상승해 대상이 보다 잘 보이는 것을 암순응이라고 한다. 조명하는 빛 및 대상에서의 빛의 분광조성에 따라 3종류의 추상체 감도가 변하고 이에 따라 시각계의 분광감도가 변화해 색이 보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색순응이라고 한다.

스타터 starter

전극에 필요한 예열을 주고, 이것과 안정기와의 조합으로 서지전압을 만들어, 형광램프를 시동하는 장치.

스타터형 형광램프

스타터에 의해 전극에 전류를 흘려 예열한 뒤 펄스를 인가하는 시동방식으로 사용하는 형광램프이다. 스타터로 수동 스위치 방식, 글로우 스타터(점등관) 방식, 전자 스타터 방식이 있다. 글로우 스타터(점등관)에 의한 시동방식이 있다. 스위치로 전압을 인가하면, 글로우 스타터의 글로우 방전으로 인해 바이메탈 전극이 가열되고, 양전극이 접촉해서 방전이 멈춘다. 그러면 형광램프의 필라멘트에 전류가 흘러 예열되고, 열전자가 나오기 쉬운 상태로 된다. 그사이 글스타터 바이메탈 전극의 온도가 내려가, 양전극이 떨어지고 전류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난다. 전류변화에 따라 안정기의 인덕턴스와 작용해 펄스전압(킥 전압)이 발생하고, 필라멘트 전극 양단에 인가되어 방전이 시동한다. 스위치를 넣고 점등할 때까지 몇 초가 걸린다. 수동 스위치의 경우는, 글로우 스타터 대신 스위치를 추가하고 전극의 예열시간을 예상해 이 스위치를 끊는다. 그 순간 인덕턴스 킥 전압이 발생해 양전극에 인가되어 방전시동한다. 글로우 스타터 대신 전자 스타터를 사용하면 순간적으로 점등한다.

스테판·볼츠만의 법칙 Stefan-Boltzmann's law

흑체의 분광 방사휘도 및 분광 방사 발산도를 파장에 관해 적분하면, 방사휘도 및 방사 발산도가 다음과 같이 나타내진다. Le=σT4 Me=σT4 여기에서 σ:스테판·볼츠만 상수 여기에서 h:플랑크의 상수, k:볼츠만 상수, c:진공중의 빛 속도. σ= 2π5K4/15h3c2 = 5.67032×10-8[Wm-2 K-4]

스틸브 stilb

휘도의 단위로 [sb]로 나타낸다. 1[sb]=1[cd/㎠]=104[cd/㎠]이다. 현재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스펙트럼[방사의] spectrum [of a radiation]

방사를 분해해서 그 파장이나 주파수 순서로 나열한 것을 스펙트럼이라고 한다. 예를들어 태양광선을 프리즘 분광기로 분산하면 보라에서 빨강까지 다양한 색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빛에 대한 스펙트럼이다.이들 각 광색은 파장(주파수)순서로 나열되며, 각각에 대해 일정한 파장이 대응하고 있다. 방사의 스펙트럼 파장(주파수) 범위는 108∼1016[m]까지 이른다. 그중 눈에 들어와 밝기 감각을 일으키는 파장범위는 380∼780[nm](1[nm]=10-9[m])으로 이 범위를 빛 또는 가시방사라고 한다. 스펙트럼은 형태에 따라, 휘선이 불연속으로 배열된 선 스펙트럼과 연속적으로 밝게 보이는 연속 스펙트럼이 있다.

스포츠 조명 sports lighting

옥내와 옥외 스포츠에서 플레이어나 관계자, 관객이 시각대상을 보고 순간적으로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스포츠 시설의 조명은, 책상 위에서 하는 시각작업처럼 평면적인 조명이 아니다. 대부분 경기공간을 대상으로 하며, 스포츠 종목에 따라 시각대상의 크기·동작·경기범위가 다르다. 따라서 대상경기를 충분히 이해하고, 경기면, 경기공간, 배경에 적절한 밝기를 분배함과 동시에, 경기자의 시선방향의 글레어를 배려한 조명계획이 필요하다. 조도, 조도 균제도, 배경의 밝기, 글레어, 플리커, 광색과 연색성, 때로는 TV방영이 조명계획의 기본적인 유의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스포트라이트 spotlight

특정한 좁은 부분을 밝게 비추기 위한 기구로, 보통 구경은 0.2[m]미만, 빔의 퍼짐은 20도 이하인 매우 작은 투사기. 일반적으로 반사경 또는 렌즈가 들어있다. 광원으로는 백열전구, 할로겐 전구, 쇼트 아크램프를 사용한다.

스포트 조명 spotlighting

점포조명에서, 전체를 일정한 베이스 조명으로 하고 진열대나 특별한 장소에 놓은 상품을 어필하기 위해, 그 상품이나 특정한 공간을 중점적으로 하는 조명하는 방법이다. 협각형태의 다운라이트나 빔램프, 스폿라이트를 사용한다.

슬림라인형 형광램프 cold-start fluorescent lamp; instant-start fluorescent lamp

전극을 예열하지 않고, 자기누설 변압기형 안정기에 의한 고전압을 인가해서, 곧바로 시동하는 형광램프이다. 순간적으로 점등하므로 순간점등형 형광램프라고도 한다. 구조는 일반적으로 직관형으로 유리관이 가늘다. 예열하지 않는 냉음극이므로 시동전압이 높다. 주로 점포의 쇼케이스에 사용한다.

시각 vision

눈을 통해 대상을 볼 때 밝기 색, 형태, 크기, 움직임을 인식하는 생리적 또는 심리적 현상, 또는 시각계의 이런 기능. 시감각 또는 시지각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시각계 visual system

안구, 시신경, 바깥쪽 슬상체, 대뇌시각령(유선야)으로 구성된, 시각을 담당하는 계통. 안구는 시각대상의 상을 망막상에 맺고, 상의 빛의 강약 및 색을 망막안의 광수용기에 의해 생리적 전기신호로 변경해 시신경에 전달한다. 시신경을 경유한 신호는 바깥쪽 슬상체에서 약간의 정보처리를 거친 뒤, 대뇌 시각령에 전해져 밝기, 색, 형태, 움직임이 지각된다.

시동전극 starting electrode [of a discharge lamp]

방전을 개시하도록 하기 위한 보조전극.

시동전압 starting voltage [of a descharge lamp]

방전램프에서, 방전개시에 필요한 전극 사이의 최저전압, 방전 개시전압이라고도 한다.

시선 유도표 delineator

차도측 끝의 선 형태를 나타내기 위해, 길쪽에 거의 같은 간격으로 연속해서 설치한 일련의 표시 폴, 재귀반사의 기능을 겸한 것이 많은데 이 경우를 반사 유도표라고 한다.

실 지수 room index; installation index

옥내에서 조명기구를 사용하면 직접조도 이외에 반사에 의한 간접조도가 발생한다. 직접조도 및 간접조도는 방의 형태에 따라 다르다. 이방의 형태를 나타내는 수치로,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한 다음 식으로 나타낸다.

K_r = {XY} over {H(X+Y)}


여기에서 Kr: 실 지수, X:가로, Y:세로 H:작업면에서 광원까지의 높이. 이 실지수는 조명률이나 고유 조명률을 나타낼때 겸용한다. 형상의 수치는 벽 면적에 대한 작업면 및 천정면의 면적비를 나타내고 있다. 터널조명의 경우, 상호반사에 의한 조명률을 구하는 방법으로 광원의 높이에 대한 노면 전체 너비의 비와 노면, 벽면, 천정면 반사율과의 조합에 의한 입사광속이 노면에 주는 계수(율)로 나타낸다.

CIE 1931 표색계 CIE 1931 standard colorimetric system

3종류의 색과을 가법혼색하면 시료의 색과 등색시킬 수 있다. 이때의 색광 혼합량으로 시료의 색을 표시하는 방법을 3색 표색계라고 한다. 국제 조명위원회(CIE)가 1931년에 정한 등색 함수에 따른 3색 표색계를 특히 CIE 1931 표색계라고 한다. 이 표색계는 XYZ 표색계라고도 하며, 3자극치 X,Y,Z로 표시된다.

CIE 1964 표색계 CIE 1964 supplementary standard colormetric system

국제 조명위원회(CIE)가 1964년에 정한 등색함수에 따른 3색 표색계를 특히 CIE 1964 표준색계라고 한다. 이 표색계는 x10, y10, z10 표색계라고도 하며 3자극치 x10, y10, z10로 표시된다. 이 등색함수는 x10(λ), y10(λ), z10(λ)로 불리며, Stiles, Burch, Speranskaya에 의해 구해진 10도 시야에서의 등색함수 측정결과를 평균해서 정해졌다. CIE 1931 표색계가 4도 이하의 비교적 작은 시야에서의 색 배합 결과를 나타내는데 대해, 4도에서 10도 사이의 큰 시야에서의 색 배합 결과를 양호하게 나타낸다.

CIE 글레어 지수 CIE glare index; CGI

국제 조명위원회(CIE)가 글레어 공식 기준화를 도모하기 위해 Dr. Einhorn에게 연구를 위탁해 1979년 제안된 글레어 평가방법이다.

 

아크램프 arc lamp

주로 아크방전에 의해 발광하는 방전램프를 말한다. 형광램프, 고압 수은램프, 메탈 핼라이드램프, 고압나트륨 램프, 저압 나트륨 램프, 크세논 램프등은 아크램프이다.

아크방전 arc discharge; electric arc[in a gas or in a vapour; vapor]

음극강하가 글로우 방전에 비해 적은 것이 특징인 방전. 음극의 전자방출은 각종 원인(열전자 방출, 전계방출 등)이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것에 의하는데, 2차 전자방출의 비율은 적다.

안정기 ballast

전원과 방전 램프 사이에 접속해 주로 램프전류를 규정치 내로 제한하는 작용을 하는 장치. 전원전압을 승압하는 수단이나, 역률개선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시동장치(스타터, 이그나이터의 총칭)와 함께 사용해 방전램프의 시동에 필요한 상태를 부여하는 경우도 있다.

안정기 내장형 고압수은 램프 blended lamp; self-ballasted mercury lamp

외관의 유리구안에 발공관과 직렬로 백열전구와 동일한 필라멘트를 접속해서 봉한 고압수은 램프이다. 필라멘트의 백열광을 이용하므로 효율은 낮지만 광색·연색성이 개선된다, 또한 필라멘트가 안정기의 역할을 하므로 외부 안정기는 필요없으며 백열전구의 기구에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전압에 따라 100[V]형, 200[V]형이 있다. 100[V]형은 시동전압을 내리기위해 예열전극과 바이메탈 스위치를 조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종류는 고압수은 램프와 동일하게 투명형, 형광형, 반사형, 볼형이 있다. 구조와 분광분포는 「고압수은 램프」항을 참조.

액센트 조명 accent lighting

전체가 일정한 레벨의 조명으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특정한 대상물에 주의를 끌 목적이나 대상물을 강조하기 위해서 하는 지향 조명. 일정한 밝기에서 특별한 주의를 끌려면 단계적인 밝기가 필요하다. 조도치로 표현하면 일정한 조도치의 10배 정도가 필요하다.

앵커 support

백열전구의 필라멘트를 지지하는 금속선, 앵커(anchor)는 닻으로, 예전에는 매달기 추라고도 부르던 것이다. 한국에서는 앵커가 통용되고 있지만 CIE 국제 조명용어에서는 support로 부른다. 재료는 가능한한 가는 선이어야 하며 융점이 높고 선 팽창률이 유리와 별로 차이가 없고 열 전도율이 낮아야 하며, 현재 몰리브덴이 사용되고 있다.

양광주 positive column

방전에서 전위의 기울기가 양이고, 원자 또는 분자의 여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플라즈마 상태의 발광부. 많은 방전램프는 이 발광을 이용한다.

에이징 aging; ageing

램프의 특성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특정한 조건에서 초기점등하는 것. 예전에는 고화라고 불렀다.

역 제곱의 법칙[조도에 관한] inverse-square law

점광원에서 빛에 의한 조도는 중간에 흡수나 산란이 없고, 광학계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광원과 관측점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이것을 역 제곱의 법칙이라고 한다.

연색 colour rendering; color rendering

색 지각은 빛이 망막을 자극해서 생긴다. 따라서 망막에 어떤 조성을 지닌 빛이 들어오는가 문제이다. 대상이 되는 물체가 동일해도 조명하는 빛의 조성이 다르면 물체에서 반사되는 빛의 조성이 다르므로 색이 다르게 보인다. 이렇게 조명광(광원)이 색의 보임에 미치는 영향을 연색이라고 한다. 광원의 연색이 좋은지 나쁜지를 아는 척도로 연색 평가수를 이용한다.

연색 평가수 colour rendering index; color rendering index

광원이, 대상으로 하는 물체의 색의 보임에 미치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기준광으로 조명된 시험색의 색 보임과 연색이 문제시 되는 시험광으로 조명된 시험색의 색 보임의 차이(색차)로 계산된다. 따라서 시험광이 어느 기준광 아래에서의 색 보임을 얼마만큼 충실하게 재현하는가를 나타낸다. 기준광과의 상대적인 연색성을 문제로 삼는 이유는, 사람이 어떤 것의 좋고 나쁨을 평가 할때 무의식중에 특정 기준과 비교해서 판단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인간의 생리학적인 진화과정을 생각하면 주광 아래에서의 체험이 평가기준이 된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사람은 주광이 일출에서 일몰로 시간에 따라 변화되어도 그 변화에 순응해 색 보임에는 위화감이 없다. 따라서 기준광은 시험광에 근사한 색 온도를 가진 흑체방사 및 CIE 주광에서 선택한다. 각종 형광램프의 연색 평가수 계산예는 「형광램프」항을 참조.

열방사 thermal radiation

기체, 액체 또는 고체를 구성하는 원자, 분자, 이온 또는 전자는 그 온도에 대응하는 볼츠만 분포에 따르는 열 에너지로 운동한다. 이 열운동으로 하전 입자에서 전자파가 방사되는데 이런 방사를 내는 과정이나 나온 방사.

열음극 방전램프 hot cathode discharge lamp

아크방전의 양광주에서 발광하는 방전램프를 말한다. 방전유지에 필요한 방전전류는 주로 음극에서의 열전자 방출로 이루어지며, 음극강하가 비교적 적다. 보통 이런 종류의 램프에는 시동기가 필요하다.

열전대 thermocople

2종의 금속 또는 반도체를 접속해 접속부분과 다른 부분의 온도차로 생기는 열 기전력(제어벡 효과)의 측정으로 온도를 측정하는 소자. 이경우 온도를 측정하는 부분의 접속부분 이외에 열전대와 다른 회로의 접속부분은 일정한 온도로 해야 된다. 열전대에는 백금-로듐, 크로멜-아르멜, 동-콘스탄탄을 조합한 것이 있다.

유도등 기구 luminaires for emergency exit signs

소방법으로 규정된 피난조명용 조명기구, 피난구 유도등, 통로 유도등 개선 및 객석 유도등으로 구분된다.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으로 점등하고 상용전원 정전시에 자동적으로 비상전원으로 전환해서 점등하는것. 법령에서는 유도등이라고 한다.

음극선관 cathode ray tube

음극선관은 진공중에서 전자빔을 고전압 가속해서 형광체를 발광시키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컬러 CRT의 구조는 3개의 전자총을 갖고 각각 변조 전극의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전자빔을 브라운관의 편평면에 도포되어 있는 빨강, 초록, 파랑의 점 모양 형광체에 조사해서 발광시킨다. 3색의 전자빔과 점모양의 형광체를 각각 정확하게 대응시키기 위해, 형광체 면의 바로 앞에 섀도 마스크가 설치되어 있다. 형광체는 빨간색에는 Y2O2S : Eu, 안료(벤가라등)가 있는 Y2O2S : Eu, Zn3(PO4)2 : Mn, 초록색에는 ZnS : Cu, Al, ZnS : Au, Cu, Al, Zn2SiO4 : Mn, As, 파랑색에는 ZnS : Ag, Cl을 사용하고 있다. CRT는 표시화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디스플레이 소자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표시화질은 전자빔의 주사, 변조, 집속이 용이하고 밝기, 컨트라스트, 중간조, 색도면에서 다른 표시소자보다 우수하다. 정보단말용으로 보급함과 동시에 고해상도와 보기쉽게 되는 것이 요구된다. 해상도는 섀도 마스크, 전자총, 편향방식의 개량으로 컬러는 도트?! 픔? 0.2[mm], 모노는 0.13[mm] 정도로 되었다.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논글레어 유리, 긴잔광의 형광체, 페이퍼 화이트 형광면의 사용과 인간공학적 견지에서의 표시면 개량이 추진되고 있다.

이그나이터 ignitor

그 자체로 또는 다른 소자와 조합으로 전극을 예열하지 않고 방전 램프를 시동하기 위한 펄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장치.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electroluminescence

기체, 고체 또는 액체 물질중, 전계의 작용으로 물질내의 전자 또는 이온이 가속되거나 캐리어가 주입되어, 그 결과 생기는 루미네센스. 즉, 기체중의 방전에 의한 발광 및 전계의 자극으로 생기는 고체 또는 액체(주로 형광체)에서의 발광의 총칭이다. 외부에서 가속된 전자를 흡수해서 생기는 루미네센스는 음극선 루미네센스[cathodelumi-nescenece]라고 한다.

일반용 조명기구 general purpose luminaire

특수한 용도로 설계된 것이 아닌, 보통의 실내에서 사용하는 직접 설치형, 매달기 형, 스포트 라이트 등이다. 공장, 건축현장 등에서 거칠게 취급하는 기구나 수중기구, 사진촬영용 기구처럼 그 용도가 특수한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

EL램프 electroluminescent lamp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는 전계로 발광하는 진성 EL과, 전류로 발광하는 주입형EL(발광 다이오드, 반도체 레이저)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를 EL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EL램프는 진성 EL에 의한 발광을 이용한 램프이다. 실용화되어 있는 EL을 분류하면 분산형과 박막형이 있다. 분산형에는 무기형(법랑형)과 유기형(필름형)이 있다.

HID램프 HID lamp ☞ 고휘도 방전 램프

LED light emitting diode ☞ 발광 다이오드

NCS 표색계 natural colour system; natural color system

E.Hering이 1905년에 반대색설에 기초해 고안한 표색계를 기초로 체계화된 것으로, 스웨덴 공업규격으로 채용되고 있다. 대상으로 하는 색의 보임을 심리학적인 원색인 빨강(R), 노랑(Y), 초록(G), 흰색(W) 및 검정(S)의 비율로 나타내는 것이다. 색상은 R, Y, G, B의 구성비율로 나타낸다. 보통 R과 G, Y와 B는 동시에 구성요소로 이용할 수 없으므로, 서로 이웃한 2원색과 W및 S의 심리적인 구성비율로 나타내게 된다. 예를들어 R과 Y의 비율이 40:60인 색상으로 순수색(W와 S의 비율이 0인 색)과 W 및 S의 비율이 40:40:20으로 느껴지는 색은 2040Y40R처럼 기술한다.

UCS 색도도 uniformchromaticity scale diagram

색도좌표 x, y를 직교 좌표상에 그림으로 나타낸 것을 CIE 1931 색도도(또는 xy 색도도)라고 한다. 동일한 명도를 갖고, xy 색도도상에 색도차이가 같은 색 쌍이 색에 따라 동일한 색차의 지각을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CS 색도도는 XYZ 표색계를 적당한 표색계로 변환해서, 색도도상의 2점의 거리가 어느 영역에서도 지각되는 색차에 가깝도록 고안된 것이다. 대표적인 UCS 색도도는 현재 국제 조명위원회(CIE)가 권고하는 CIE 1976 UCS 색도도(u′v′색도도)이다. 색도뿐만 아니라, 명도를 포함한 3자극값 공간에서의 거리가 지각되는 색차에 가까워지도록 한 것을 균등 색공간이라고 한다.

 

자연광 natural light

편광특성이 전혀 검출되지 않는 빛을 말한다. 즉, 광파의 벡터는 시시각각 불규칙적인 변화를 하는데, 임의의 시간의 평균을 구했을 때 방향분포가 일정한 빛이다. 예를들어 태양의 직사광, 가스의 연소광, 방전등에서의 직사광은 자연광이다. 불투명 유리를 통과한 빛, 균등 확산면에서 반사한 빛은 자연광에 가깝다. 한편 광파의 전계 벡터 진동방향의 분포가 일정하지 않고 편중되어 있는 것을 편광이라고 한다. 편광과 자연광이 섞인 것을 부분편광이라고 한다. 자연광이 전파 도중 산란이나 반사하면 부분편광이 된다. 전등의 빛, 청공광이 부분편광이다. 자연광을 비편광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자외방사 ultaviolet radiation

가시방사보다 짧은 파장범위로서, 대략 1∼380[nm] 정도까지의 방사를 자외방사 또는 자외선이라고 한다.

저압 나트륨램프 low pressure sodium[vapour] lamp; low pressure sodium [vapor] lamp

나트륨의 증기압이 0.1∼0.5[Pa]으로 아크방전에서 방사하는, 주로 등황색 D선(589.0[nm]와 589.6[nm]을 발광하는 열음극 방전램프이다.

저압 수은램프 low pressure mercury [vapour] lamp; low pressure mercury[vapor] lamp

점등중의 수은 증기압이 100[Pa] 이하인 수은 중기중의 방전에 의한 발광을 이용하는 방전램프를 말한다. 유리관의 내벽에 형광체를 도포한 형광램프나 253.7[nm]의 자외선을 많이 방사하는 살균램프가 여기에 포함된다.

적분구 integrating sphere; Ulbricht sphere

내면이 파장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반사율로 균등 확산반사를 하도록 만들어진 구체. 적분구 내부에서는 빛이 확산반사를 반복한 결과, 직접광을 제외한 확산반사에 의한 내면의 조도가 일정해진다. 이 성질을 이용해 배광이 복잡한 광원의 전광속을 측정하거나 방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광속을 평균화해서 측정하는데 이용한다.

적외 방사 infrared radiation

가시방사보다 긴 파장범위로 대략 780[nm]에서 1[nm]정도까지의 방사를 적외방사 또는 적외선이라고 한다. 국제 조명위원회(CIE)에서는 적외방사를 파장에 따라 780∼1400[nm], 1.4∼3[μm], 3[μm]∼1[mm]로 분류하고 각각 IR-A, IR-B, IR-C라 부른다. 이밖에 근적외 방사 (780∼2[μm]), 중적외 방사(2∼4[μm]), 원적외방사(4[μm]∼1[mm])의 구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적외방사는 대부분 열 에너지로 변환되므로 작용효과는 주로 가열, 건조, 보온, 조리이다. 하지만 광통신, 리모트 센싱, 야간 투시 장치의 파장으로도 이용한다.

적외 전구 infrared lamp

특별히 적외선 방사가 많아지도록 설계된 백열전구를 말한다. 백열전구에서 방사되는 에너지의 대부분은 적외선이다. 필라멘트 온도를 일반 조명용 전구보다 낮게 설계하여 적외방사를 상대적으로 늘린다. 분포온도(색온도)는 2000∼2600[K]이다. 형상은 반사형이 많다. 봉형태의 석영관은 할로겐 전구가 많다. 유리관은 적색 바탕의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많다. 적외 전구는 근적외부(파장 1∼3[μm]) 방사가 많으므로 가열·건조용으로 공업가열·건조용, 복사기 정착용, 난방용, 렌지용으로 이용한다. 가온효과에 의해 혈액순환, 땀의 분비를 촉진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농축산용, 미용·의료용에 사용한다.

전구색 형광램프

상관 색온도가 약 2800[K](2600∼3150[K])인 형광램프로 광색은 백열전구의 빛에 가깝다. 따뜻하고 차분한 분위기의 조명에 적합하다.

전구형 형광램프 compact self-ballasted fluorscent lamp

콤팩트하게 구부린 발광관과 점등회로(스타터 및 안정기)를 일체화해서, 전구와 동일한 나사형 베이스(E26)를 가진 형광램프이다. 모양은 구(볼)형(G형), 통형(T형), 환형(C형) 및 더블U형(4개 봉)이 있다. 발광관은 약간 가는 유리관을 사용해 더블U형 또는 4개 봉, U형 또는 환형으로 소형화되어 있다. 따라서 발광관의 온도가 높아지므로 수은증기압을 최적값(약 1[Pa])으로 제어하도록 수은을 아말감 상태로 봉입한다. 외관에는 투광성 플라스틱 또는 유리의 글로브가 있는 것이 많다. 점등회로를 고주파 점등의 전자회로로 만든 것은 순간점등할 수 있으며 경량으로 효율도 향상되어 있다. 광색은 주백색과 전구색이 주류이다. 연색성은 3파장역 발광형(EX) 형광램프 수준으로 뛰어나다. 백열전구에 비해 점등시 광속의 상승시간은 약간 느리지만 효율, 수명이 몇 배나 된다. 이 램프는 백열등기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데 밀폐형 기구처럼 온도상승이 큰 것에는 제약이 있다. 발광관, 스타터 및 안정기는 일체화 되어 있으므로 발광관만 교환할 수는 없다.

전등 electric lamp

전기를 이용하는 인공광원을 조명기구에 삽입해서 조명용으로 사용하는 장치를 말한다.

전반 조명 gemeral lighting

일반적으로 실내조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다. 사무실, 공장 등에서 특별한 영역없이 실내 전체를 거의 일정한 조도로 조명하도록 설계된 조명. 기본적으로 천정에서의 조명기구로 조명하며 기구의 배치, 배열이 거의 규칙적이다. 이에 비해 사무기, 기계의 배치에 대해 시각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별한 영역(범위)을 조명하는 것을 국부조명이라고 한다.

전반 확산조명 general diffused lighting

JIS에 의한 정의는 「크기가 무한하다고 가정된 작업면에 발산광속의 40∼60[%]가 직접 도달하는 배광을 갖는 기구에 의한 조명」으로 돼 있다. 즉, 기구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면을 경계로 위쪽으로 나가는 광속이 60∼40[%], 아래쪽으로 나가는 광속이 40∼60[%]인 조명기구를 사용한 조명이다. 이 방법으로는 위쪽으로 나가는 빛이나 아래쪽으로 나가는 빛의 양에 큰 차이가 없으며 천정, 벽, 작업면에 모두 빛이 입사한다. 균일한 실내 휘도분포를 얻기 쉬운 반면, 실내 각 면의 반사율이 낮으면 효율이 나빠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전자방출 물질 emissive material

전자방출을 촉진하기 위해 금속전극에 입히는 물질. 형광램프에서는 전자방출을 활발하게 만드는 바륨, 스트론튬, 칼슘 등의 산화물이 피복되어 있다.

전자식 안정기 electronic ballast

방전램프를 시동, 점등하기 위한 안정소자를 포함하고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교류-교류(일반적으로 상용주파-고주파) 변환기로 이루어지는 안정기, 정확하게는 전자회로식 안정기이다.

점광원 point source

광원에서의 빛에 의한 측광량을 관측, 측정 또는 계산할 때 광원과 관측점 사이의 거리에 비해 관측방향에서 본 크기가 충분히 작다고 보는 광원. 눈으로 광원을 보고 관측하는 경우에는 관측자가 본 광원의 크기가 명소시 조건에서 시각으로 2분 이내, 암소시 조건에서 10분 이내면 점광원으로 볼수 있다. 방사량에 대해 위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점방사원이라고 한다.

점멸 사인 flashing sign

사람의 눈에 대한 유목성과 식별성을 증강하기 위해, 발광 소자군의 일부나 전부를 점멸하는 방식을 사용한 전기사인 또는 전광 표식.

정반사 regular reflection; specular reflection

어떤 평면상에 입사한 방사나 빛이 입사점에서 반사하는 경우 입사점에 법선을 세우고 이것을 중심으로 입사각을 θ1, 반사각을 θ1′로 하면 θ11′가 성립한다. 이것을 반사의 법칙이라고 한다. 이 법칙에 따르는 반사를 정반사 또는 경면반사라고 한다. 양질의 거울이나 잘 연마된 금속면에 빛을 비춘 경우가 그 예이다.

조광 dimming

램프의 빛을 원활하게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 이것을 무대조명 분야에서는 페이드인, 페이드아웃 이라고 한다.

조광기 dimmer

조명기구 또는 조명설비 광원의 광속을 증감시켜 조명 대상면의 조도 레벨을 조절하는 것으로 전기회로의 일종이다. 조광방식은, 〔1〕전압제어 〔2〕반도체에 의한 전류의 위상제어가 있다. 용량에 따라 1[kW]이하 정도를 조광기라고 한다. 대용량은 시스템 조광이 되어 조광기 또는 조광장치라고 한다.

조도 illuminance

광원으로 비춰지고 있는 면의 발기 정도를 나타내는데 조도를 이용하며, 단위 면적당 입사하는 광속으로 주어진다. 기호에는 Ev, E를 이용하며 단위는 룩스[lx]이다. 책상이나 바닥처럼 피조면이 수평인 경우의 조도를 수평면 조도, 벽이나 칠판처럼 수직인 면의 경우를 수직면 조도, 광원을 마주보는 방향에 수직인 면의 조도를 법선조도라고 한다.

조도계 illuminance meter

조도를 측정하는 측광기로 광전지 조도계, 광전관 조도계, 표시가 숫자로 나타나는 디지털 조도계가 있다. 조도계는, 지시가 빛의 입사각 코사인에 비례하는 코사인 법칙(여현법칙)을 만족해야 된다. 따라서 수광기의 앞면에 유백색의 확산성 커버를 붙여, 각도 특성을 코사인 법칙에 접근시킨다. 분광감도는 가능한한 표준 비시감도와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감도 보정필터를 수광기에 붙여서 상대 분광감도를 비시감도에 접근시킨다.

조도 환산계수[노면의] illuminance conversion factor[of a road surface]

노면상의 어느 점의 수평면 조도값을, 정해진 관측방향에서의 휘도값으로 나눈 값. 실제 도로의 조명에서는 각 점의 조도값, 휘도값을 이미 알고 있다면 환산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평균조도 환산계수로서만 사용한다. 즉, 노면의 수평면 조도 평균치를, 노면 휘도의 평균치로 나눈 값으로, 노면의 평균휘도를 평균조도로 환산하는 계수이다. 이 계수는 노면의 종류, 상태, 등기구의 배광, 배치에 따라 다르다. 일본에서는 지금까지의 실험, 실시예로 일정한 조명 상황하에서는 다음 값들을 사용하고 있다. 세미컷오프 등기구에 의한 아스팔트 노면:15[lx/cd/㎡], 콘크리트 노면:18[lx/cd/㎡], 터널조명에서는 아스팔트의 경우:18[lx/cd/㎡], 콘크리트 노면의 경우:13[lx/cd/㎡].

조명 lighting; illumination

빛을 사람의 생활, 활동에 도움을 줄 목적으로 응용하는 것. ☞빛(광)

여기에는 크게 다음 4가지의 의미가 있다. 〔1〕대상물과 그 주변이 보이도록 비추는 것, 대상물은 면, 입체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비추는 방법도 다양하다. 이 경우에 대응하는 영어는 "illumination",은 「대상물에만 빛을 조사하는 것」을 의미하며, 한정된 내용인 것에 주의한다. 〔2〕사람의 감정, 기분에 작용하도록, 환경을 비추어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빛의 응용. 〔3〕시각신호가 가진 정보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빛의 응용. 실례로는 교통신호, 전광사인이 있다. 광원 자체가 정보원이 되어 사람의 눈에 들어오는 직접광이 정보를 전달한다. ☞시각 신호. 〔4〕사람의 시각 이외의 대상에 광방사를 응용하는 것.☞광방사. 비고: 대응하는 영어는 위 〔1〕의 의미, 즉 좁은 의미의 조명에만 대응한다. 「조명」은 영어와 비교하면 보다 넓은 의미이다.

조명공학 lighting technology; illuminating engineering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바꾸고 빛을 전기로 바꾸는 것이나, 조명에 대해 취급하는 과학기술 분야의 체계를 말한다.

조명기구 luminaire

광원의 배광제어 및 광색조정, 분광분포의 변화와 같은 광학적 기능을 갖고 이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광원을 유지하고 보호하는 기계적 기능 및 전원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이나 점등용 부속장치를 비롯한 전기적 기능을 겸비한 것이다. 광원은 포함되지 않는다. 조명기구의 종류는 여러 가지로, 일률적으로 분류하기는 곤란하다. 하지만 비교적 대표적인 분류방법은 다음 4가지이다. 〔1〕사용 광원별 〔2〕기구의 형태별 〔3〕기구의 설치상태별 〔4〕기구의 기능별 〔1〕은 백열등 기구, 형광등 기구처럼 광원의 명칭에 따른 것. 〔2〕는 샹들리에, 역삼각형 또는 삼각형 등. 〔3〕은 매달기형, 직접 설치형 등. 〔4〕는 광학적 기능, 물침입으로부터의 보호 정도, 전기충격에 대한 보호 정도, 기타 기능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조명률 utilization factor

대상 피조면에 도달하는 광속(이용 광속)과 사용광원 자체의 총광속의 비율을 말하며 고유 조명률과 구별해야 된다. 즉, 광원에서 방사된 빛 가운데 피조면에 도달하는 빛이 몇 %인지를 나타내는 비율로 단위는 없다. 실내에서 사용하는 일반적 조명기구는, 방지수, 바닥면, 벽면, 천정면의 반사율의 조합에 따라, 메이커의 카탈로그에 게재되어 있다. 도로조명기구는 설치높이와 도로너비의 관계에 따라 계산하도록 게재되어 있다.

조사량 dose, radiant exposure

대상이 되는 것에 조사한 광방사 에너지의 단위 면적당 값(방사조도와 시간의 곱). 방사 노광량이라고도한다. 양 기호:He, H 단위:주울/평방미터[J·㎡] 조사량은 조사면상에 (비추는) 에너지로, 흡수되는 에너지는 아니다. 조사하는 광방사의 분광분포는 목적에 따라 규정해야 된다.

주광 daylight

주광광원의 근본은 태양이 방사하는 가시광선이다. 직사일광과 천공광의 총칭을 주광이라고 한다. 주광에 의한 조명을 생각하는 경우에는, 직사일광은 태양의 움직임이나 기후에 따라 방향과 양이 시간과 함께 심하게 변동하므로 일반적으로는 천공광만 뜻한다.

주광조명 daylighting

주광을 광원으로 하는 조명. 주광조명에는 경제적, 심리적으로 인공조명이 따르지 못하는 뛰어난 특색이있다. 인공조명과 비교해 주광조명의 특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주광은 시간적·위치적으로 인공광에 비해 제약을 받는다. 당연히 주간에만 이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창문에서의 채광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창쪽이 밝고 구석부분은 어두워진다. 그 비율은 1/10에 이르는 경우도 있지만 인공조명일 때만큼 신경쓰이지는 않는다. 그다지 눈이 부시지는 않다는 특징이 있다. 〔2〕인공광처럼 안정되지 못하며 밝기나 광색이 변한다. 항상 안정된 밝기를 필요로 하는 작업환경에서는 결정이지만, 주택같은 경우에는 자연변화가 생활에 자극을 주는 의미에서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3〕주광의 색은 가장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따라서 보다 주광색에 가까운 인공광원이 요구된다. 주광의 색은 밝기와 마찬가지로 항상 변화하는데 그 변화는 별로 의식되지 않으며 불쾌하다고도 느껴지지 않는다. 〔4〕창문에서 채광해 양지나 외부도 전망할 수 있고 통풍·환기도 도모하는 등 종합적인 효과는 인공광과 비교할 수 없다. 하지만 공조된 방?! 【?는 이것이 외란이 되므로 직사일광에 대해서는 빛과 열의 양면을 고려한 일조조정이 필요하다. 주광조명의 광원으로는 일반적으로 천공광만을 이용 대상으로 한다.

직접 글레어 direct glare

시야내의 광원 또는 휘도가 높은 대상에서의 빛이 직접 눈에 들어와서 생기는 글레어.

직접 조명 direct lighting

JIS에 의한 정의는 「크기가 무한하다고 가정한 작업면에, 발산 광속의 90∼100[%]가 직접 도달하는 배광을 가진 기구에 의한 조명」으로 되어 있다. 즉, 기구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면을 경계로 위쪽으로 나가는 광속이 0∼10[%], 아래쪽으로 나가는 광속이 100∼90[%]인 조명기구를 사용한 조명이다. 작업면에 대해서는 가장 효율이 높은 방법이지만, 천정면이 어두워지기 쉽고 실내의 휘도분포가 나빠지는 경우도 있다. 이 방법은 천정이 높은 공장처럼 천정면이 어두워도 별로 문제가 안되는 장소, 특별히 효율을 중시하는 장소에 많이 이용한다.

진공전구 vacuum lamp

진공의 유리구 안에서 필라멘트가 발광하는 백열전구이다. 가스주입 전구보다 텅스텐 필라멘트의 증발이 많아 수명과 유리구의 흑화에 영향이 있다. 저와트의 소형 전구에 많다.

집어등 fishing lamp

해상 또는 수중에서 발광해, 물고기를 유도하는 특성을 가진 램프를 이용한 조명기구. 주로 어선에 설치한다.

 

차광각 shielding angle

조명기구에서 방사되는 빛은 불필요한 방향으로는 글레어를 안주도록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이나 높은 휘도의 반사면이 눈에 안들어오는 한계선과 기구의 수평면이 이루는 각을 차광각이라고 한다. 광원이나 기구의 고휘도면이 안보이는 선과 조명기구 수직축 사이의 각을 컷오프각이라고 한다.

채도 chroma

유채색 색조의 강도를 그색과 명도가 같은 회색과 비교한 경우 회색에서의 지각적인 격차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먼셀 크로마의 의미로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채도의 개념은 국제적으로 분화되고 있다. 그중 하나의 개념으로, 대상이 되는 색이 어떤 조명조건에서 관찰되과 있는가에 관계없이, 지각된 무채색에서의 격차를 문제로 삼는데 이것은 chromaticness 또는 colourfulness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대상이 되는 색의 조명조건(조도)이 변화하면 직관적인 선명함이 변화해서 보이나, 주위의 무채색 배경과 대비해서 보면 선명함의 변화는 느낄 수 없다. 이 경우의 채도를 크로마 또는 지각 크로마라고 하며 먼셀 표시계의 채도에 대응한다. 또 한가지 개념은, 색도좌표가 일정한 대상색의, 휘도와는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게 지각되는 색조의 강도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광원색의 색조 강도와 관계한다. 이 개념은 saturation이라고 부른다.

초고압 수은램프 extra-high pressure mercury [vapour] lamp; extra-high pressure mercury [vapor] lamp

10-수100 기압의 수은 증기압에서 아크방전의 발광을 이용하는 램프로, 쇼트 아크형과 롱아크형이 있다. 쇼트아크형은 둥근 모양의 석영유리 중심에 전극 간격을 작게 위치시켜 봉착되어 있다. 그안에는 수은과 봉입가스로 아르곤 또는 크세논이 봉입되어 있다. 점등중인 수은의 증기압은 10∼50기압에도 이르며, 고휘도의 점광원이 된다. 광학 현미경, 광학 기기, 포토에칭, 제판, 인화에 사용한다. 롱 아크형은, 두꺼운 석영 유리관을 사용하여, 점등중의 증기압은 50∼200기압에 이른다. 램프는 강제공냉 또는 수냉을 시킨다. 용도는 CRT의 형광체 부착, 제판, 반도체나 IC등의 폰토에칭 등에 사용한다. 분광분포는 자외에서 적외까지 분포하며 수은의 증기압이 높아짐에 따라 연속스펙트럼이 늘어난다.

최대 시감도 maximnm spectral luminous efficacy

CIE 표준 비시감도가 최대가 되는 파장에서의 분광 시감도로, 최대 분광 시감도에 해당한다. 명소시에는 최대가 되는 파장이 λm=555[nm], 최대 시감도가 Km=683[lm/W]이다. 암소시에는 각각 λ′m =507[nm], k′m =1700[lm/W]이다.

축점법 point method; point-by-point method

광원이나 조명기구의 배광 측정 데이터 또는 배광곡선 데이터를 사용해, 계산하려는 각 점(위치)의 직접조도를 구하는 계산방법. 이 방법은 도로조명에서 노면의 휘도값 예측에도 응용된다. 점광원에 의한 법선조도, 수평면조도, 수직면 조도는 각 항에 계산식을 기술하고 있다. 선광원, 면광원의 계산식도 확립되어 있다.

측광량 luminous quantities; photometric quantities

빛에 관한 양을 측광량이고 하며 광속, 광도, 조도, 휘도, 광속 발산도를 들 수 있다. 측광량의 기본단위인 광도는 국제 단위계(SI)에서 「주파수 540×1012[Hz](진공중에서 파장 555[nm]인 단색방사)를 방출하고 어느 방향의 광도를 1칸델라[cd]로 한다」고 정해져 있다. 방사량에서 측광량으로의 변환에 대해서는 CIE 표준 비시감도와 최대 시감도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카본 아크램프 carbon arc lamp

탄소(카본) 전극 사이의 아크 방전으로 빛을 내는 방전램프를 말한다. 종류는 저휘도,아크, 고휘도아크, 발염아프로 구분된다. 저휘도 아크는 순수 탄소전극의 백열에 의한 것이다. 휘도는 150∼180[cd/㎠]이며 색온도는 3600∼3800[K]이다. 고휘도 아크는 전류밀도를 좀 더 크게 한 것이다. 휘도는 55∼145[kcd/㎠]이며 색 온도는 2900∼6500[K]이다. 발염 아크는 금속의 염류를 함침시킨 탄소 전극을 이용해 금속 특유의 스펙트럼 발광을 낸다. 효율은 50[lm/W]이상이다. 고휘도의 점광원으로 연색성도 뛰어나므로 영사기, 투광기, 광학기기, 사진제판 이외에 재료의 내후 시험용 광원으로 사용된다. 취급과 환경 문제로 크세논 램프로 대체되고 있다. 1808년 데이비(영국, H, Davy)의 아크 방전발견으로 시작되었다. 1868년 프랑스에서 아크등이 실용화됐다. 한국에서는 덕수궁에서 1887년 점등식을 계기로 전기가 처음으로 도입되어 사용 되었다.

카본 전구 carbon filament lamp

필라멘트 탄소로 만들어진 백열전구로써 T.A 에디슨(Edison)이 1879년 실용 전구를 발명한 것은 카본 전구였다. 거기에 사용한 필라멘트는 목면실을 고온으로 처리해 산소가 남지 않도록 탄화해서 말굽형태로 만든 것이다. 필라멘트의 개량에 일본의 대나무가 1881년부터 사용되어 셀룰로스로 바뀔때까지 약 9년간 사용되었다. 1910년 인선 텅스텐 전구가 발전되어 보급되기까지 카본 전구는 조명용 전구의 주류였다.

칸델라 candela

광도의 단위로 [cd]기호로 나타낸다. 국제단위계(SI)의 7가지 기본단위(길이[M], 질량[㎏]. 시간[s], 전류[A], 온도[K], 물질량[mol], 광도[cd])중 하나로, 광도만 인간의 감각에 관계하는 양이다. 국제 도량형 위원회가 정한 정의에 따르면 1[cd]는 주파수 540×1012[Hz](진공중의 파장 555[nm])의 단색방사를 방출하고, 일정한 방향의 방사강도가 1/683[W/sr]인 광원의, 그방향의 광도의 크기를 나타낸다. 이전의 정의에 따르면 1cd는 압력 101, 325[Pa]인 기압하에서 백금의 응고 온도에 있는 흑체(완전 방사체)의 1/600,000[㎡]면적에 수직 방향의 광도이다. 이 정의에 따라서도 1[cd]의 크기는 실용상 변하지 않는다.

컷오프 각 cut-off angle

조명기구의 한 점을 통과하는 수직선과 조명기구로 덮혀 있는 광원의 발광부분이 보이기 시작하는 시선방향이 이루는 각, 차광각의 보각이다.

코니스 조명 cornice lighting

벽면에 가까운 천정에, 벽면과 평행으로 천정면에 접하는 가림판을 만들어 안쪽에 기구를 배치하여 주로 벽이나 커튼, 벽면을 연출하는 조명. 천정이 낮은 방에서는 천정이 높아진 느낌을 준다. 벽면의 마무리가 벽지, 타일, 돌인 경우는 조명효과를 한층 더 기대 할 수 있다.

코브 조명 cove lighting

조명기구를 벽면의 상부에 숨기고, 벽면의 상부와 천정을 조사하는 간접조명, 천정면이 흰색이나 밝은 색으로 마무리되는 경우만 유효하다. 부드러운 빛으로 차분한 분위기가 되며 천정이 깔끔해 넓은 공간으로 연출할 수 있다. 하지만 단조롭고 활기없는 조명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샹들리에 조명과 겸용하는 것이 좋다.

콤팩트형 형광램프 compact single cdpped fluorescent lamp; compact single based fluorescent lamp

유리관을 구부리거나 또는 접합해서 콤팩트한 형상으로 만든 한쪽 베이스의 형광램프. 발광관의 형상은, U형(4개 봉) (DL형)및 플랫형(WL형)이 있다. 스타터형 형광램프에 비해 발광관의 관지름이 가늘고, 최냉부의 온도가 높아져 수은의 증기압을 최적(약 1[Pa])으로 하기 위해서, 수은을 아말감 상태로 봉입하거나 발광관의 일부에 특별한 냉각부를 설치한다. 효율은 비교적 높으며 휘도도 높다. 광색은 주백색과 전구색이 주류이다. 베이스는 특수한것 (GX 10q, GY 10q)을 사용하며 안정기는 별도로 설치하지만 스타터는 내장한 것과 아닌 것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콤팩트형 안에 종전의 U형 형광램프는 포함하지만 환형은 포함시키지 않는다.

크립톤 전구 krypton lamp

봉입 가스로 크립톤 가스를 봉입한 백열전구. 크립톤 가스는 아르곤 가스보다 무겁고 열 전도도가 약 1/2로 열 손실이 적다. 필라멘트인 텅스텐의 증발을 억제하므로, 크립톤 주입 전구는 일반 조명용 아르곤 주입 전구에 비해 효율이 10∼13[%] 향상된다(효율을 동일하게 하면 수명은 약 2배가 된다). 일반조명용 전구와 광속을 거의 동일하게 하고 소비전력을 10[%] 감소시켜 (효율3[%] 향상) 수명을 2배(2000시간)로 만든 크립톤 전구가 제품화 되어 있다. 열손실이 적으므로 알루미나실리케이트 유리의 유리구를 이용한 소형 크립톤 전구가 보급되어 있다.

크세논 램프 xenon lamp

아크 방전중 주로 크세논 가스의 여기에 의해 발광하는 방전램프이다. 그 분광분포는 자외역에서 가시역까지의 연속스펙트럼과 근적외부에 강력한 선 스펙트럼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가시역은 색온도 약 6000[K]인 자연주광과 아주 근사하다. 이 분광분포는 입력 전력에 의한 변화나 수명 중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휘도가 높은 광원이다. 1944년 슐츠(독일, Schulz)가 발표해 구미에서 발달되었으며 종류는 쇼트 아크형, 롱 아크형 및 크세논 플래시 램프로 구분된다. 쇼트 아크형 램프는 석영 유리구안에 양극과 음극을 수[nm]의 간격으로 봉하고 크세논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직류로 점등해 곧바로 안정적인 광 출력을 얻을 수 있으며 휘도(105[cd/㎠])가 높은 점 광원이다. 크세논 가스는 점등 중 20∼40기압이 된다. 자연 주광에 가깝고 고연색이므로 표준 백색광원, 영사용, 인쇄 제판용, 퇴색 시험용, 솔라시뮬레이터용으로 사용한다. 수직점등에서는 양극을 위로 하며 수평점등에서는 대류에 의한 아크 굴곡을 자계로 교정하는 방법이 이루어지고 있다. 롱 아크형 램프는 긴 석영 유리관 양끝에 전극을 봉착하고 크세논 가스가 1기압 정?! ? 봉입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교류로 점등한다. 전력이 큰 것은 정특성 방전으로 안정기가 없어도 점등할 수 있는 것이 있다. 고휘도로 연색성이 좋으므로 인쇄 제판용, 퇴색 시험용에 사용하며 투광조명에 사용한 경우가 있다. 크세논 플래시 램프는 석영관 또는 고실리카 유리관의 양끝에 전극을 봉하고 크세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전극간에 펄스 전압을 인가해 순간적으로 방전해서 발광하며 사진촬영에 이용한다.

 

태스크 조명 task lighting

태스크란 책상이나 특정한 장소에서의 업무·작업을 의미한다. 글레어나 반사에 의한 시각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각작업에서 작업자 전방에서의 조명은 직접 글레어나 반사 글레어, 광막반사를 일으키기 쉬우므로, 조명기구의 배치는 사이드가 바람직하다.

투과 transmission

방사원에서의 방사나 광원에서의 빛이 그 단색방사(광) 성분의 주파수를 변경하지 않고 어느 물체 안을 통과하는 현상을 투과라고 한다. 물체면상으로의 입사 에너지는 반사하거나 투과, 또는 물체 안에서 다른 에너지 형태로 변환해서 흡수된다. 따라서 이들 반사, 투과, 흡수의 비율은 물체에 따라 단색방사(광) 성분의 주파수에 따라 다르다. 투과는 형태에 따라 정투과, 확산투과, 균등확산투과가 있다.

투광기 floodlight

반사경 또는 렌즈를 사용해서 일정한 범위의 방향에 강한 빔광을 만들어내 특정한 대상면을 집중적으로 투사하는 것으로서, 보통 조사각도가 가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조도분포를 일정하게 하는데 적합하며, 근거리에서 상당히 넓은 면적을 조사하는 성능인 것. 개방형 구조와 밀폐형 구조가 있다.

투광조명 floodighting

어느 피조면 또는 물체를 투광기 류를 이용해 조명하는 방법이다. 스포츠 조명, 간판조명, 건조물, 광장조명으로 대표된다.

 

파센의 법칙 Paschen's law

기체중 2개의 전극 사이에 전압을 가했을 때 전계가 일정하고 온도가 일정하면 그 방전 개시전압은 기체의 압력 p와 전극간의 거리 d의 곱 pd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나타낸 법칙.

파장 wavelength

어느 시각에 매질한 진동의 위상이 같은 가장 가까운 2점간의 거리를, 주기파의 진행방향으로 측정한 길리을 파장이라고 한다.

페닝효과 Penning effect

준안정 상태를 형성하는 기체에 다른 종류의 기체를 소량 혼합하면, 첨가기체의 전리전압이 원래 기체의 준안성 여기전압보다 낮을때 방전개시전압이 저하하는 현상. 기체의 방전 개시전압과 전기 전도도의 개량뿐만 아니라 레이저광의 발진에 응용된다.

평균 구면 광도 mean spherical luminous intensity[of a source]

조명기구가 공간의 각 방향으로 방사하는 광도의, 광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 구면상에서의 평균.

평균 구면 조도 mean spherical illuminance; scalar illuminance

임의 공간의 1점에 미소구가 있다고 가정한 경우 그 미소구의 평균조도이다. 즉, 모든 방향에서 미소구에 입사하는 총광속을 구의 표면적으로 나눈것이다. 또한 점광원에 의한 법선 조도를 En으로 하면 평균 구면 조도는 1/4·En이 된다. 평균 구면 조도는 공간의 어느 점의 빛의 총량을 나타내기에 좋은 지표이다. 조명의 지향성 정도를 나타내는「조명 벡터」와 평균 구면 조도의 비에 따라 모델링 효과를 설명하는 경우에 이용한다. 조명 백터에 대해 평균 구면 조도는 스칼라양이므로 「스칼라 조도」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평균 연색 평가수 general colour rendering index; general color rendering index

조명하는 빛의 조성이 다르면 동일 물체에서도 반사되는 빛의 조성이 다르므로 색의 보임이 달라진다. 이렇게 조명광이 물체의 색 보임에 미치는 영향을 연색이라고 하며 광원의 연색이 좋은지 나쁜지를 아는 척도로 연색 평가수를 이용한다. 연색 평가수는 15종류 시험색(CIE에서는 14종류)의 기준광(예를들어 특정한 색온도를 가진 주광)하에서 색의 시각과 시험광(예를들어 형광램프)하에서의 보임의 차이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15종류의 시험색은 성질상 2종류로 분류된다. 시험색 No.1에서 No.8은 주변에 있는 물체색의 평균적인 색 어긋남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이용하는 중명도, 중채도의 색이다. 시험색 No.9에서 No.12는 빨강, 노랑, 초록, 파랑의 순수색으로 심리적인 4가지 기본색에 대응한다. 시험색 No.13과 No.15는 유럽인 및 한국인의 피부색에, 시험색 No.14는 나뭇잎 색에 해당한다. 이들 7가지 색은 주변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대표적인 색이다. 평균 연색 평가수는 시험색 No.1에서 No.8의 시험색에 대한 연색 평가수를 평균한 것으로 Ra기호로 나타낸다.

평균 조도 average illuminance

어느 면상의 조도의 공간적 평균, 시간적인 평균조도도 「평균조도」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서비스 조도」를 사용한다.

풋라이트 footcandela

무대 맨 앞부분의 바닥면에 배치한 연속 조명기구군으로, 하부에서의 균일한 조명을 준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방전발광을 이용한 평면형 표시패널로 직류(DC)형은 1954년에, 교류(AC)형은 1966년에 각각 개발됐다. DC형은 2장의 유리 기판 안쪽에 각각 줄무늬모양의 전극을 만들고 그것을 교차시켜 유리기판 주변을 봉합한 뒤 희유가스(네온)를 봉입한 구조이다. 전극이 방전공간에 노출되어 있고, 직류전압을 인가하는 행전극과 열전극의 교점 위치에서 글로우 방전된다. AC형은 전극을 얇은 절연층으로 피복한 구조이다. 교류전압 인가로 글로우 방전시켜 절연층에 축적하는 전하를 역전압 인가할때 이용해 메모리 효과가 있다

플랑크의 방사법칙 Planck's law

흑체방사의 분광 에너지 분포는, 다음 3가지 가정에서 계산에 의해 유도된다. 〔1〕온도 T인 물질과 공동이 에너지 평형상태에 있다. 〔2〕온도 T인 물질의 에너지 분포가 볼츠만 분포에 따른다. 〔3〕방사 에너지가 hν를 단위로 하여 양자화 되어 있다.

플랑크 상수 Planck constant

양자론의 영역을 특징짓는 상수. 기초상수의 하나로, h로 나타낸다.

h=(6.6260775±0.0000040)×1034[J·s] (1986년 조정값)

플리커 flicker

대상의 광도, 휘도 또는 색이 시간적으로 변화할 때, 그 변화속도가 시각계의 응답속도보다 느리면 명암 또는 색의 변화를 지각할 수 있다. 이런변화, 또는 그것을 지각하는 것을 플리커라고 한다. 변화가 빨라져 시각계의 응답이 따라가지 못하게 되면 눈에는 일정한 밝기로 보이게 된다. 이런 상태를 융합했다고 한다. 융합한 상태에서 외관의 밝기는 탤보트, 플라토의 법칙으로 나타내진다. 융합이 시작되는 주파수를 임계 융합 주파수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시각대상의 휘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 주파수도 높아진다. 휘도와 임계 융합 주파수의 관계를 근사적으로 나타내는 법칙을 페리·포터의 법칙이라고 한다.

필라멘트 filament

전류로 백열하는 선 모양의 도체. 전구·진공관의 발열 코일.

필터[광학} filter [optical]

방사(광)의 강도, 분광분포, 편광특성, 모드를 변화시키는 광학소자.

 

하이타워 조명 high tower lighting

하이타워의 정의는 명확하지 않다. 하지만 20[m] 이상의 탑으로 상부에 조명기구군을 설치하는 가대, 장대같은 것을 장비하고 있는 것이라고 해석해도 상관없을 것이다. 탑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강관에 의한 단주, 트러스 구조, 라멘구조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가대도 조명기능뿐만 아니라 미적감각이나 심볼적 의장 등 다양한 형상을 볼 수 있다. 이 탑을 사용한 조명방식을 하이타워 조명이라고 부른다. 광장, 운동장, 재료 집적장, 조작장, 도로의 인터체인지 부분의 조명에 이용하며 조명기구는 투광기를 사용한다.

하이폴 조명 high pole lighting

하이폴의 「하이」의 정의는 명확하지 않지만 대략 20∼50[m]정도라고 해석해도 상관없을 것이다. 즉, 20∼50[m]의 기둥에 투광기를 설치, 조명하는 방식을 말한다. 광장, 재료 집적장, 도로의 인터체인지에 이용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넓은 범위를 조명대상으로 한다. 폴 건주의 입지적 조건과 폴의 난립을 피할 의도로 사용한다.

할로겐 전구 tungsten halogen lamp

유리구(관) 안에 불활성 가스 이외에 미량의 할로겐 원소나 할로겐 화합물이 봉입되어 있고, 텅스텐의 필라멘트에 전기를 흘려 고온에 의한 열방사에 의한 빛을 이용한 램프이다. 할로겐 전구는, 점등중에 증발한 텅스텐이 할로겐 물질의 매개로 필라멘트로 돌아가는 작용[할로겐(재생) 사이클]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텅스텐 증발에 의한 필라멘트 손실과 유리구 내면의 흑화가 적고, 일반전구보다 광속저하가 적고 수명이 길어진다. 할로겐(재생) 사이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점등중인 고온 필라멘트에서 텅스텐이 증발해 유리벽쪽으로 확산한다. 할로겐 물질은 필라멘트 부근에서 열분해해서 일부 원자상태가 되므로, 이것과 증발한 텅스텐이 반응해 투명한 할로겐화 텅스텐 화합물을 만든다. 유리벽의 온도가 250[℃] 요오드인 경우, 브롬인 경우는 170[℃] 이상으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할로겐화 텅스텐이 유리벽에 부착되지 않고, 증기 상태로 대류나 확산에 의해 필라멘트 근처로 이동한다. 그곳에서는 고온때문에 할로겐과 텅스텐으로 분해해 텅스텐은 필라멘트로 돌아간다. 이 현상을 반복함으로서 필라멘트의 손실에 의한 가늘어짐과 유리! 구의 텅스텐에 의한 흑화가 방지되어 광속저하가 적고 수명이 길어지며, 일반 조명용 백열전구보다 필라멘트 온도를 높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할로겐 전구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유리구는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석영 유리를 많이 사용하나, 경질 유리(고규산 유리, 알루미나 실리케으트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봉입가스는 아르곤, 질소, 크립톤과 같은 불활성 가스(가스압 100∼400[kP])이외에, 할로겐 물질로 요오드, 브롬, 염소의 단체나 화합물로 사용한다. 필라멘트는 코일모양의 텅스텐 선을 사용한다. 석영유리와 도입 금속선의 봉착은 나이프엣지를 가진 두께 20∼30[μm]의 몰리브덴 박을 이용해 핀치실되어 있다. 일반 조명용 편베이스의 소형은(반사경이 있는 것도 포함) 점등방향이 자유롭다. 하지만 투광용 등 가늘고 긴 관형의 양베이스은 수평점등만(수직점등하면 최냉부의 온도가 낮아져 할로겐 사이클이 충분히 작용하지 않는다)한다. 점포조명처럼 일반 조명용에 폭넓게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할로겐 전구로 적외 반사막 응용형과 저전압형이 있다. 적외 반사막 응용 할로겐 전구는, 석영 유리의 바깥표면에 고굴절율의 금속 산화물(티! 타니아)과 저굴절율 금속 산화물(실리카)의 다층막으로 이루어지는 투광성 적외 반사막을 형성하고 있다. 적외 반사막은 필라멘트에서 나오는 가시광을 투과하고, 적외선을 반사해서 필라멘트로 돌려 보내 필라멘트의 가열에 재이용해서 램프효율을 향상시킨다. 그 결과 열선은 줄어든다. 저전압형 할로겐 전구는 12[V] 또는 24[V]로 점등된다. 저전압용 필라멘트는 작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점광원에 가까워진다. 여기에 가시광이 반사하고, 적외선을 투과시키는 다중 간섭막이 있는 소형 반사경(다이크로익 미러)과 조합해서 열선을 작게 하고 샤프한 배광을 구할 수 있다. 할로겐 전구는 1959년 즈블러(E.G.Zubler)에 의해 요오드 전구가 발명된 것에서 시작된다. 그뒤 요오드 이외의 각종 할로겐 화합물을 봉입한 것이 보급되어 「할로겐 전구」라고 부르게 됐다. 할로겐 전구는 소형·고휘도로 광색(색온도 3000∼3400[K][켈빈])이 좋으며 연색성도 뛰어나다. 조명용으로 점포의 스포트 조명, 투광조명, 스튜디오 조명을 비롯해 영사용, 광학기기용, 자동차 전조등, 비행장 유도 등화용, 집어등, 복사기기용 등에 사용되고 있다.

항공등 navigation light[of a aircraft]

항공기의 존재와 형상을 표시하기 위해 항공기에 장비한 일련의 신호등화. 구체적으로는 양쪽 날개의 맨끝을 나타내는 익단등.

항공 장애등 obstacle light

항공기에 대해 비행의 장애가 되는 물건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하는 항공등화. 이전에 사용한 obstruction light는 사용하지 않도록 CIE(4판)가 권고하고 있다.

형광 fluorescence

여기된 에너지 준위에서 직접 낮은 에너지 준위로 천이되어 생기는 루미네센스. 일반적으로 여기를 끝낸뒤 방사의 지속시간이 108[S]이하로 짧은 것이 많다.

형광 고압수은 램프 high pressure mercury fluorescent lamp

외관 유리구의 내면에 형광체를 도포한 고압수은 램프를 말한다. 고압수은 램프의 발광은 파란 빛으로 적색광이 적으므로, 발광관에서 방사하는 자외선(주파장 620[nm])을 형광체에 의해 적색광(주파장 620[nm])으로 변환해 광색·연색성을 개선하고 있다. 형광체로 희토류 형광체[유로피움이 있는 활바나 인산 이트륨(VYPO4:Eu)]등을 사용하는 것에 따라 투명 수은램프보다 효율은 약 10[%]향상된다. 평균 연색 평가수 Ra는 40∼45가 되어 연색성, 광색이 모두 개선된다. 청록색 영역의 형광체나 심적색 발광의 형광체를 추가해 Ra를 50정도로 개선할 수 있다. 형광(고압) 수은램프는 효율이 낮지만 고출력, 긴 수명, 따뜻한 광색(색온도 3800∼44200[K]), 다양한 품종이 특징이다. 따라서 도로, 공장, 공공시설, 공원등의 옥외조명, 높은 천정 옥내조명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형광(고압)수은램프의 구조 및 분광분포는 「고압수은램프」의 항을 참조.

형광램프 fluorescent lamp

저압(0.6∼0.8[Pa] 수은증기중의 방전으로 방사되는 자외선(주로 253.7[nm]와 185[nm]의 파장)이 형광체를 여기해서 가시광으로 변환한 빛을 주로 이용하는 램프이다. 최근에는 베이스를 포함한 발광부분을 형광램프라고 하고 안정기, 조명기구를 포함한 것을 형광등으로 구별하는 경우가 많다. 램프의 구조는 유리관의 내벽에 형광체를 도포하고, 양끝의 필라멘틀 전극은 텅스텐 선의 2중 코일에 전자 방사물질(바륨, 스트론슘, 칼슘 등의 산화물)이 도포되어 있다. 유리관 안에는 소량의 수은과 수 100[Pa]의 아르곤 가스와 같은 불화성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형광 램프는 종류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시동방식, 형상, 광원색, 연색성 등에 의해 분류하고 있다. 시동방식으로는 스타터형, 래피드 스타트형, 슬림라인(순시 점등)형이 있다. 스타터형의 점등에는 글로우 스타터(점등관)를 이용하는 것이 많으며, 수동 스위치(스탠드)나 전자 스타터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전자 스타터는 순간적으로 점등한다. 래피드 스타터형은 유리관의 내면 또는 외면에 방전하기 쉽게 도전성 막이나 도체를 붙여, 필라멘트 전극 가열과 동시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안정기! 로 점등한다. 1∼2초에 즉각 점등하며 빌딩조명에 많다. 슬림라인형은 일반적으로 유리관이 가늘고, 예열하지 않는 냉음극이므로 시동전압이 높다. 고전압을 인가해 순간적으로 점등하며 점포의 쇼케이스 등에 사용한다. 모양은 환형, 직관형 이외에 U형이나 더블 U형의 콤팩트형, 전극 베이스를 갖고 발광관을 소형으로 만들어 안정기와 일체화한 전구형 형광 램프가 있다. 광원색은 일반 조명용으로 주광색(D), 주백색(N), 백색(W), 온백색(WW) 및 전구색(L) 5종류가 있다. 이밖에 파랑, 초록, 노랑, 핑크색 칼라 램프가 있다. 연색성은 레벨에 따라 A(DL), AA(SDL), AAA(EDL)로 구별되어 있다. 색 평가용으로 가장 연색성이 우수한 램프는 AAA이다.3파장(역발광)형 형광 램프는 빨강, 초록, 파랑의 협대역으로 발광하는 형광체를 조합해서 효율, 연색성이 전부 우수하며 주택, 점포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형광 램프는 광색의 종류가 많으며, 효율은 80∼90[lm/W] (40[W]형)이다. 수명은 5000∼10000시간으로 뛰어나며, 휘도가 낮고 연색성도 비교적 좋아 한국, 일본에서는 일반 조명용으로 상당히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수 용도로는 저온용, 자외선 방지용, ! 식물육성용, 방충용, 포충용, 건강선램프, 광화학 반응용, 복사용, 블랙 라 이트, 칼라 램프가 있다. 형광 램프는 1935년 인맨(미국, G.E.Inman)에 의해 실용적인 램프가 발명되어 1938년 제품화됐다.

형광체 luminophor; phosphor; fluorophor

포투루미네센스,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또는 음극선 루미네센스를 일으킨다. 보통은 고체 물질로 형광물질이라고도 한다.

혼광 조명 blended lighting

다른 여러 개의 광원을 이용해, 어느 피조면 또는 물체를 조명하는 방법. 옥내에서는 체육관에서 사용하는 혼광등(동일 기구안에서는 다른 종류의 광원을 내장한 것)이나 뱅크라이트, 공장의 셰이드를 쌍으로 한 고천정 조명, 옥외 스포츠의 투광조명처럼 많은 예를 볼 수 있다. 사용하는 광원은 백열전구, 메탈핼라이드 램프, 고압 나트륨 램프, (형광) 고압 수은램프이다.

확산[방사] diffusion

방사원에서의 방사와 광원에서의 빛이 미소한 凹凸 이 있는 물체면상에 입사하거나 미소한 입자를 포함하는 물체내를 통과할 때 부분적으로는 반사의 법칙, 굴절의 법칙,(스넬의 법칙)에 따른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방사나 빛이 모든 방향으로 반사하고 굴절한다, 따라서 반사후, 투과후의 방향이 퍼지는 현상을 확산이라고 하며 각 상태를 확산반사, 확산투과라고 한다. 이 경우 단색방사(빛) 성분의 주파수는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확산면 diffuser; diffusing surface

투과 또는 반사하는 방사(빛)를 확산하는 면. 투과할 때 확산하는 면을 투과형 확산면, 반사할때 확산하는 면을 반사형 확산면이라고 한다.

확산 반사 diffuse reflection

방사원에서의 방사나 광원에서의 빛이 미세한 凹凸 이 있는 물체면상에 입사한 경우에, 전체적으로 보아 반사의 법칙에 따르지 않고 방사나 빛이 확산하고 있는 상태를 확산반사라고 한다. 예를들어 한 방향에서의 입사에 대해 반사성분이 모든 방향으로 나오는 경우이다. 반사성분의 화살표 길이는 방사라면 방사 강도, 빛이라면 광도의 크기를 나타내며 방향에 따라 다르다. 단, 정반사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입사각과 동일한 반사각 방향의 성분이 커진다. 반사 성분에서 법선방향의 방사강도 또는 광도를 In, 법선과의 각 θ방향에 있는 방사강도 또는 광도를 I(θ)로 했을때, I(θ)=Incosθ의 관계가 있는 경우를 균등 확산반사라고 한다. 이런 면을 균등확산 반사면 또는 균등 확산면이라고 하며, 모든 방향에 대한 방사휘도 또는 휘도가 동일하다.

확산 조명 diffused lighting

작업면이나 대상물을 조명하려고 할 때 특정한 방향에서의 빛이 두드러지게 입사하지 않고, 조사된 빛이 특정한 지향성을 갖지 않는 조명.

활주로등화 runway lights; runway lighting

항공기가 착륙 또는 이륙할 때 도움이 되도록 활주로의 형태 각 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활주로상 또는 극히 근접한 바깥쪽에 설치된 항공등. 여기에는 배치하는 장소에 따라 다음 종류가 있다. 활주로 중심선등, 활주로 측변등, 활주로 말단등, 활주로 종단등, 활주로 접지대 등. 활주로 측변등을 활주로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총칭인 활주로등화 대신 활주로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회절 diffraction

방사의 진로에 장해물이 있을때, 그 그림자부분에 방사가 들어오는 현상을 회절이라고 한다. 장해물(또는 개구)의 크기와, 파원 및 관측점에서 장해물까지 거리와의 관계에 따라 2가지로 분류된다. 즉, 파원과 관측점 양쪽이 장해물에서 충분히 먼 거리에 있고 입사파와 회절파가 평면파라고 생각되는 경우를 프라운호퍼 회절이라고 한다. 이에 비해 파원과 관측점 양쪽, 또는 한쪽이 장해물에서 유한의 거리에 있고 입사파와 회절파중 적어도 하나를 평면파로 볼 수 없는 경우를 프레넬의 회절이라고 한다. 회절파의 퍼짐은 파장이 길수록 크다. 따라서 빛에 비해 전파나 음파에서 회절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휘도 luminance

광원 등을 본 경우, 표면에서 밝기의 얼룩을 보거나 표면의 凹凸을 구분할 수 있는 것은, 각 부분에서 눈에 들어오는 광속량이 다르기 때문으로 이것이 밝기의 차이로 느껴진다. 이렇게 사람이 사물을 봤을 때 느끼는 밝기에 대응한 양으로 휘도를 이용하며, 발광면과 수광면 양쪽에서 정의되어 있다. 휘도의 기호로는 Lυ, L을 이용하며, 단위는 칸델라/제곱미터[cd/㎡]이다.

휘도계 luminance meter

휘도를 측정하는 측광기로 렌즈식 휘도계, 차광통식 휘도계, 색의 3작극치도 측정할 수 있는 색채 휘도계가 있다. 현재 이용하는 것은 주로 렌즈식 휘도계이다. 이것은 렌즈에 의한 대상의 상조도가, 대상의 휘도에 비례하는 관계를 이용해 상이 있는 곳에 놓인 수광기의 출력에서 대상의 휘도를 측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휘도계의 분광감도는 표준시비감도와 가능한 유사해야 되며, 수광기에 시감도 보정 필터를 끼워 상대 분광감도를 비시감도에 근사시킨다.

휘도 균제도 uniformity ratio of luminance

어느 면상에 존재하는 휘도값중 한정된 범위에서의 편균 휘도값에 대한 최소 휘도값의 비를 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대 휘도값을 넣어 최대값에 대한 최소값의 비, 최대값에 대한 평균값의비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전부 휘도의 불균일함을 나타내는 척도로 이용한다. 도로조명에서 휘도 균제도는 장해물의 시각확인에 대해 글레어와 함께 소요 평균 휘도값에 영향을 준다.

휘도 대비 iuminance contrast

휘도가 다른 2개의 대상 또는 대상과 배경이 존재할 때, 2가지 휘도차의 절대값을 어느 한쪽의 휘도로 나눈 값. 즉 2개의 휘도를 L1과 L2로 하면 휘도대비 C는 다음과 같다. C=( L1- L2)/L1 보통 분모의 휘도 L1에는 면적이 큰것이나 배경의 휘도를 이용한다.

흑체 Planckian radiator; blackbody

외부에서 들어오는 방사를, 그 파장 여하에 상관없이 전부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 물체 또는 장치. 스스로 내는 방사도 그 파장 여하에 상관없이 전부 방출하는 성질을 갖는다. 외부와 에너지가 평형상태에 있는, 온도가 일정한 흑체가 열 방사를 하는 과정, 또는 그 방사를 흑체방사라고 한다. 흑체방사의 분광에너지 분포는 플랑크의 방사법칙에 의해 주어진다. 실제 흑체는 온도가 일정한 물질로 둘러싸인 공동과 에너지 평형을 흔들지 않는 정도로 작은 창으로 외부와 접속해서 실현한다. 창으로 들어오는 방사는 공동안에서 반사를 반복하는 가운데 전부 흡수된다. 공동 안의 에너지도 파장 여하에 상관없이 창을 통해 방출된다.

흡수

방사원에서의 방사나 광원에서의 빛이 어떤 물체안을 통과할 때, 주로 열과 같은 다른 에너지로 변환되어 결과적으로 방사속이나 광속이 감쇠하는 현상을 말한다.

흡수 스펙트럼 absorption spectrum

연속 스펙트럼을 가진 방사가 어떤 물질을 투과할 때, 그 물질 특유의 파장이나 파장영역에서 방사가 흡수되어 원래의 방사가 그 파장지점에서 없어지거나 약해진다. 이 투과광의 스펙트럼을 그 물질의 흡수 스펙트럼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물질이 기체 원자이면 선 스펙트럼이, 분자면 밴드 스펙트럼이 된다. 복잡한 분자나 액체, 고체에서는 연속 스펙트럼 형태가 된다. 흡수는 낮은 에너지 준위에서 높은 에너지 준위로의 천이에 의해 일어난다.

출처 : 똘이
글쓴이 : 똘이 원글보기
메모 :